한경연, AI인재 경쟁력 확보 위한 인프라·산업생태계 조성 시급

▲ [source=pixabay]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전세계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인재확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AI 인력 부족률은 60.6%로 나타났다. 연평균 50% 이상 성장하고 있는 관련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AI 인재 경쟁력은 선진국인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특히 한·중·일 3국 중에서도 가장 낮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수요에 훨씬 못미치는 인재확보를 위해 각 기업, 대학이 추진하는 실무형 인재육성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책과 교육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KERI)은 국내 산학연 AI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AI 인재 현황 및 육성방안’에 대한 조사결과, AI인재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교수진 확보를 통한 AI 교육 인프라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데이터 3법 등 규제완화를 통해 AI 산업 성장을 주도할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 (왼쪽) AI 인력 부족률, (오른쪽) AI 전문인력 확보 방안 [KERI 자료인용]

한경연이 발표한 ‘AI 인재 현황 및 육성 방안’에 조사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답한 대다수 전문가는 AI 산업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을 기준(=10)으로 중국, 일본, 한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각각 8.1, 6.0, 5.2로 평가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AI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과 비교 시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국내 AI 인력 부족률이 평균 60.6%에 달한다고 답했다. 개별 응답률을 보면, 50%대 수준에서 부족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절반 이상 부족하다는 의견이 전체의 72.5%에 달했다.

부족 비율이 낮다고 응답한 일부 전문가는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연구조직이 신설되고 있지만, 현재 AI 기술 기반의 사업아이템이 많지 않고, 산업이 고도화되지 않아 얼마나 부족한 지에 대해 논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AI 전문인력 양성과 확보방안으로는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순으로 조사됐다.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를 설립 혹은 인수한다는 의견도 각 17.9%에 달했다.

삼성전자, 네이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은 바로 협업이 가능한 연구진을 보유한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 설립을 통해 현지 기술 전문가 채용을 통한 인력확보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우수 대학 인재확보를 위해 산학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거나 사내 교육프로그램으로 직원들을 재교육하는 등 실무형 인재육성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전문가 대다수가 AI 인력확보에 가장 장애요인으로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을 꼽았다.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려움(25.5%),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순이 뒤를 이었다.

▲예산 지원, 규제 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과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를 꼽은 비중도 각각 6.7%로 나타났다. 기타의견으로는 회사 경영진의 AI 기술·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응답도 있었다.

▲ AI 인력확보에서의 애로사항 [KERI 자료인용]

산업계 전문가는 채용 시 기업이 요구하는 AI 기술 수준과 지원 인력과는 괴리가 있어 채용 후에도 재교육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전세계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려운 점도 인력확보에서 어려움으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AI 인재육성을 위한 개선과제 부문에서 전문가들은 AI 교육 인프라 확대(37.8%)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데이터 활용규제, AI 전공 교수 겸직 제한 등 기술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완화(21.1%), 또 AI 기술 관련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의 AI 인재 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투자 확대(13.3%)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AI가 4차 산업시대에 새로운 성장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인력 부족률이 60.6%에 달하면서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과 대학의 실무형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관련 교육 인프라를 확대하면서 심각한 청년실업이 완화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