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국내 연구진이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소멸되는 전자소자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향후 보안용 메모리나 인체에 삽입하는 헬스케어 소자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성진 국민대 교수·김성호 세종대 교수 연구팀은 3D프린터를 이용해 소멸·분해 시간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전자)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사라지는 전자소자는 일회용품과 보안용 전자제품, 사람의 몸에 삽입하는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성진·김성호 교수 연구팀은 3D프린터를 사용해 물에 잘 녹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전자소자 기반으로 출력하고 위에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전자소자를 제작했다. PVA 기판은 물에 녹으면 전자소자로서 기능이 소멸된다.

연구팀은 출력된 기판의 소멸·분해되는 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기판 밀도에 따른 표면적 대 부피비를 계산, 해당 값에 따라 소멸·분해되는 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연구 결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기판의 밀도-크기를 조절하면 전자소자의 분해 시점도 조절이 가능해진 셈이다.

최성진·김성호 교수 연구팀이 3D프린터로 폴리비닐알코올(PVA)을 기반으로 출력한 전자소자. 물에 닿으면 녹으면서 전자소자로서 기능이 소멸되는 점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이 인체에 삽입되는 소자와 사용 후 사라지는 보안제품, 일회성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인체삽입을 위한 의료용 전자기기에 적용되면 기존의 인체삽입용 전자기기의 단점인 기기 제거를 위한 2차 수술에서 오는 심리적·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에서 사용한 3D프린터는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해 소자를 제작할 때에도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인체삽입형 의료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관련 기술이 보안용 칩과 메모리에 적용하는 등 군사·산업 부문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팀 최성진 교수는 “의료용, 일회성, 보안용 전자기기를 상용·실용화하는 것이 목표로 이를 위해서는 사라지는 전자소자에 다양한 회로와 센서, 메모리의 구현이 필수적”이라며 “연구팀에서 주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다양한 회로를 3D프린터로 출력된 PVA 기판에 제작해 동작을 확인해 나가는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