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 간편, 신축성·유연성 뛰어나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 전원기술 활용 기대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헬스케어·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성장하면서 차세대 웨어러블 단말과 결합돼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휴대용 전력 공급 기술 개발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특히 휴대성이 좋고 평상복처럼 입을 수 있는 섬유 형상의 태양전지나 배터리, 마이크로 케이블 구조의 전력섬유 형태의 전력기술에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양극산화와 표면개질기술을 통해 섬유실 모양(Yarn type)의 전극형태를 지닌 신개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기술 개발에 성공해 주목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소속 이중기·리우구쳉 박사 연구팀은 티타늄와이어의 양극산화 및 표면개질을 이용해 줄 모양의 태양전지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왼쪽부터) 교신저자_KIST 이중기 박사, 제1저자 리우구쳉 박사 [사진=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중기·리우구쳉 박사 연구진은 여러개의 섬유실로 이뤄진 줄모양의 태양전지기술을 개발함으로서 기존 태양전지와 차별되는 용량, 수명, 전극형상을 지니고 디바이스 공간설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형상 변형이 자유로운 고신축성을 지닌 염료감응형 웨어러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창호형태로 제작해 건물이나 유리창에 부착시킨 형태로 전기를 생산하는 형태로 제로에너지하우스나 에너지절약형 빌딩에 응용돼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창호형 태양전지는 친환경적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신축·유연성을 갖춰 세탁까지 가능한 특성이 요구되는 웨어러블 태양전지로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KIST 이중기·리우구쳉 박사 연구진은 태양전지전극의 표면을 개질시켜 티타늄 산화층 간의 광전자이동거리를 최소화화고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전하 수집률 향상과 티타늄 산화층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수집·산란시켜 입사된 빛의 활용도를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계층 구조의 티타늄금속 기반 광음극(photoanode)'을 이용한 섬유 형상 염료감응형 태양전지(Fiber-shaped dye-sensitized solar cells)는 8.128%의 우수한 광전 변환효율과 93.1%의 광전자집전효율을 보였다.

연구팀이 전하 수집 및 수확 능력이 향상된 계층 적 구조의 광양자를 이용해 제작한 섬유 모양의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제작 모식도

또 기존의 티타늄금속 와이어와 이번 연구를 통해 개질된 티타늄금속 와이어를 곡률반경에 따른 출력 변환 및 개회로전압을 비교한 결과, 연구진은 개발한 줄형상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지름 1cm로 말아도 태양전지성능이 95%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중기 박사는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사람, 사물, 공간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몸에 부착시켜 입는 형태의 전자제품이 등장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성과로 몸에 부착 가능한 섬유제품만큼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확보했으며 향후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와 결합된 전력공급의 형태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지원으로 KIST 기관고유사업,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 및 한-중(NRF-NSFC) 협력연구사업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물리·응용 분야 국제 학술지 'Nano Energy'(IF: 13.120, JCR 분야 상위 4.452%) 최신호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