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진수 기자] 국내 연구진이 인체 이식용 전자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전자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윤명한·이광희 교수(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이 고온·고압의 멸균처리 후에도 체내에서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고성능 플라스틱 전해질 전자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도성 고분자물질 기반의 생체전자인터페이스 소자인 유기생체전자소자(Organic Bioelectronics)는 기존의 무기물·탄소 기반의 소자보다 우수한 생체신호 감지능력과 기계적 유연성, 생체적합성과 같은 특성으로 차세대 인체 이식용 소자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고성능, 고안정성을 지닌 플라스틱 논리소자와 결정화된 전도성고분자의 세부구조

하지만 장시간 사용하면 필요한 체내 구동 안정성과 고온·고압 멸균처리 중 발생하는 변성이 약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연구팀은 계면활성제, 가교제 등 첨가제를 추가하는 기존의 개선방식과 달리 재료공학적 접근법을 통해 높은 성능과 안정성의 동시 확보를 시도했다.

연구팀은 유기생체전자소자 개발 분야에서 대표 물질인 전도성 고분자(PEDOT:PSS)의 미세구조를 분석해 첨가제 없이 활성층 고분자 물질의 고결정성 분자 재배열 유도만으로도 전해질 트랜지스터의 소자 성능과 수용액상 안정성이 극대화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 같은 고결정성 고분자의 안정성에 따라 플라스틱 전자소재를 이용한 생체전자소자가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의 미생물 멸균 과정에서 주로 쓰이는 고온·고압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 이후에도 고성능, 고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윤명한 교수는 “생체전자소자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성능 향상과 용액 안정성을 비교적 간단한 용역매개 결정화법을 통해 확보한 것”이라며 “향후 생체전자소자 상용화와 IoT 기반의 유연 광센서나 수계 유기전극 기반 촉매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9월21일 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