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fangde robotics system technology]
[source=fangde robotics system technology]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한국 제조장비산업이 2000년 이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 중심으로 성장한 가운데 최근 산업용 로봇 분야도 빠른 성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장비산업 분야 중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은 매출과 영업이익 부진에도 고용과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한 것이 주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이 기계기술정책센터는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곽기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한 기계기술정책 100호(우리나라 제조장비기업의 성장·혁신·수익 패턴 분석과 시사점)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공작기계, 산업용 로봇 등 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19년 간(2000년~2018년)의 성장과 혁신, 수익 패턴을 분석한 결과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은 급격한 성장을 보인 반면 공작기계 산업은 2010년 이후 성장이 정체됐음을 확인했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최근 성장세를 보였지만, 절대 규모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의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군에 따라 이질적인 성장이 나타난 원인 중 하나로 R&D 투자 패턴의 차이가 확인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산업의 경우 2018년 R&D 집약도가 3.8%에 달하지만 공작기계 산업과 산업용 로봇은 각각 1.6%, 2.5%에 그쳤다.

특히 공작기계 산업은 두산공작기계를 제외하고는 산업 전체적으로 저수익 현상이 굳어지고 있어 수익 창출에 기반을 둔 R&D 투자와 고용 창출의 선순환 체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계연은 제조장비산업 육성을 위한 과제로 ▲전략적 기업군 발굴과 육성 ▲M&A 장려정책으로 글로벌 히든챔피언 창출 ▲스타트업 육성 및 고용 지원정책으로 일자리 창출 ▲출연연의 지역기업 지원역량 강화를 토대로 비수도권 지역의 혁신역량과 수익성 제고 등을 제시했다. 

[기계연 자료인용]
[기계연 자료인용]

매출 성장세가 가장 뚜렷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산업은 지난 10년간 외부감사기업 및 상장 기업이 단 2개에 그쳤다. 고용창출도 매출 성장비 80% 수준에 그쳐 정교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기계연은 지적했다.

특히 연간 매출 1조원 이상의 히든챔피언은 단 2개에 불과했다. 제조장비산업의 높은 경기 변동성에 대비하고 수요산업에 대한 협상력 강화, 양질의 일자리 조성 등을 위하여 제조장비산업 산업 내 중견기업군 육성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계연 박상진 원장은 “주요 제조장비산업 내 기업 수준의 성장·혁신·수익 패턴에 따라 산업별 당면 과제와 맞춤형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대책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공헌하고 국민의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정책 개발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