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최상위 디지털 플랫폼, ‘DPG허브’ 설계 착수
민간·공공의 데이터·서비스 연결·융합 목표…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보고회 개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와 함께 디지털플랫폼정부 최상위 통합 플랫폼 ‘디지털플랫폼정부 허브(DPG허브)’의 상세설계를 위한 ‘DPG허브 정보화전략계획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DPG허브는 4월 발표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의 핵심과제 중 하나로, 민간·공공의 데이터와 서비스의 안전한 연결·융합을 지원하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 통합플랫폼이다.
DPG허브는 ▲디지털 자원등록저장소 ▲디지털 파이프라인 ▲원스톱간편인증 등의 기능을 탑재해 정부 부처간은 물론 민간과 공공의 데이터·서비스 사일로를 해소하고, 나아가 민간 주도 혁신 서비스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디지털 자원등록저장소는 민간·공공에서 제공하는 API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API 등록·저장과 검색·활용 지원하는 기능이며, 디지털 파이프라인은 제공자와 이용자의 안전·상호호환 운영을 위한 API 연결 기반 통신·보안, API 요청·응답, 트래픽 등을 제어해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을 지원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한 번의 인증 처리 후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는 통합인증 기능인 원스톱 간편인증과 API 연계 시 재인증 절차를 최소화하는 인증키 통합관리를 통해 향상된 이용 편의성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이승현 플랫폼기획국장은 “수많은 민간·정부 영역의 서비스와 데이터가 상호 원활하게 연계·연동되고 이를 토대로 아이디어를 가진 누구나 국민이 편리한 혁신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DPG허브를 구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과기정통부는 7월 착수한 ‘테스트베드’, ‘데이터레이크’에 대해 연내 서비스 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DPG허브와 더불어 디지털플랫폼정부를 뒷받침하는 핵심 인프라다.
테스트베드는 혁신적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소벤처·일반시민을 위해 서비스 개발·시험·실증에 필요한 테스트 환경과 기술지원 제공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레이크는 헬스케어·민원 등 민간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를 정제·축적해 민·관이 테스트베드와 연계해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분석환경 등을 지원하는 인프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