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넷제로 조기 달성 속도전…국내 최대 규모 재생에너지 PPA 체결

2023-11-24     박인환 기자
SK 서린사옥 [사진=SK]

SK그룹이 국내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했다.

24일 SK그룹에 따르면, SK텔레콤·SK실트론·SK머티리얼즈 등 그룹 계열사가 SK E&S와 최근 재생에너지 직접 PPA를 위한 거래협정서를 체결했다.

재생에너지 직접 PPA는 기업이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직접 구매해 사용함으로써 재생에너지 확대와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 넷제로와 RE100 이행을 위한 대표 수단으로 꼽힌다.

거래협정 협약에는 총 9개 계열사(SK텔레콤/SK실트론/SKC/SK C&C/SK머티리얼즈/SK바이오팜/SK가스/SK브로드밴드/SK바이오사이언스)가 참여했다. 총용량은 국내 최대 규모인 연 537GWh다. 이는 약 19만가구가 1년 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SK머티리얼즈는 지난해 SK 계열사 가운데 최초로 연 65GWh 규모의 PPA를 SK E&S와 체결한 데 이어 이번 PPA에도 참여사 중 가장 많은 171GWh를 체결했다.

SK그룹은 “공급업체는 복수의 사업자가 참여한 가운데 비교 견적을 통해 가격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을 갖춘 SK E&S가 선정됐다”고 배경을 밝혔다.

9개사는 SK E&S가 태양광 발전소를 통해 생산한 재생에너지 전력을 2026년부터 20년간 각 사 주요 사업장과 데이터센터 등에 공급받는다. 이를 통해 누적 500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게 된다. 이는 소나무 약 2천만그루를 심는 효과와 동일하다.

SK그룹은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 시점인 2050년보다 앞서 넷제로를 달성한다는 도전적 목표를 설정하고, 탄소 감축을 위한 투자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해왔다. 최태원 SK 회장도 ESG를 기업 경영의 새로운 축으로 삼으며 그룹 차원의 넷제로 조기 추진을 주문해왔다.

최 회장은 2021년 CEO 세미나에서 “2030년 기준 전세계 탄소감축 목표량(210억t)의 1% 정도인 2억t의 탄소를 SK그룹이 줄이는 데 기여해야 한다”며 “저탄소 친환경 사업의 선두를 이끈다는 사명감으로 2035년 전후로 SK의 누적 배출량과 감축량이 상쇄되는 탄소발자국 제로를 달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그룹은 직접 PPA 외에도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내재화, 탄소 저장소 개발, 블루 암모니아 생산·혼소발전, 암모니아·수소 연료전지 사업 등 차친환경 기술을 활용해 넷제로 조기 달성에 집중할 방침이다.

SK 관계자는 “앞으로도 재생에너지 확대는 물론 탄소감축을 위한 투자와 친환경 사업 확대 등을 통해 기후 위기 극복에 기여하는 선도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