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K-PaaS 활용 서비스·아이디어 공모전 성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K-PaaS 활용 디지털 사회혁신 서비스 개발 및 아이디어 공모전’ 본선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27일 열린 이번 공모전은 K-PaaS를 지원하는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서비스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과 통합해 열렸다.
지난 8월부터 시작해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 활용 기반 테크(Tech) 서비스 개발 ▲민관협력 디지털 사회 혁신 부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플랫폼 기술 기반 디지털 사회혁신 아이디어 공모전 등 3개 부문별로 진행됐다.
공모전 참가팀은 민관협력 지원 플랫폼을 활용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오픈API, 분야별 데이터를 토대로 다양한 사회현안 해결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했고 네이버클라우드,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가 제공하는 K-PaaS를 활용해 별도 시스템 환경 구축 없이 손쉽게 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과 우수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공모전에는 총 3개 공모 분야에서 217팀(서비스 개발 59팀, 아이디어 158팀)이 신청했다. 심사를 통해 과기정통부 장관상(3점), NIA 원장상 (4점), 후원사 상장 등 총 15개 팀(서비스 개발 12팀, 아이디어 3팀)에 상장 및 총 6,300만원 규모의 상금이 수여됐다.
심사위원단을 통해 목적성·기술성·효과성 등 6개 지표로 평가한 결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종자 및 해외 입양자 찾기 플랫폼(FIND ME)을 주제로 제출한 Exception팀과 통신 장애 시 구조요청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희소식)을 주제로 제출한 파랑새팀, 청각장애인과 세상을 잇는 플랫폼(SoRI)을 주제로 제출한 모두의배프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NIA는 민관협력 지원 플랫폼 내 서비스 개발부문 오픈 소프트웨어 및 우수아이디어 등록과 플랫폼 활용 우수사례집 제작을 통해 K-PaaS을 활용, 디지털 사회현안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해나갈 예정이다.
NIA 황종성 원장은 “공모전을 통해 디지털로 일상화된 국가사회 전반의 현안 해결·지원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아이디어들이 발굴됐다”며 “K-PaaS 기반으로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일어나는 각종 디지털 장애와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응용 서비스 생태계가 보다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