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영섭, “IT-AI 역량 더한 AICT로 전환”

AI 기술-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으로 사업 다각화

2024-02-28     김소현 기자
KT 김영섭 대표 [사진=KT]

KT 김영섭 대표가 “통신 역량에 IT와 AI를 더한 AICT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했다.

27일(현지시간) MWC 2024 행사가 열리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NH칼데론 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김영섭 대표는 이같이 밝히고 향후 비전과 로드맵을 공개했다.

김 대표는 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및 디지털 분야 전문인력을 경력직을 포함해 올해 최대 1천명 수준으로 영입하고 내부 교육 강화와 AI 내재화를 통해 DNA를 AI 중심으로 완전히 바꾸겠다”고 말했다.

KT가 AICT 서비스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서 김 대표는 “글로벌 테크 기업과의 적극적인 파트너십으로 빠르게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노하우와 역량을 빠르게 내재화할 것”이라고 개방형 파트너십 확대를 예고했다.

KT는 올해 사원부터 임원까지 전 직급에서 AI 등 ICT 전문인력을 1천명 규모로 채용하며 디지털전환을 위한 기반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AI 리터러시 강화를 위해 KT 임직원들의 AI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클라우드와 AI를 포함한 엔지니어링 영역까지 역량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

AI 네이티브 환경을 내재화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자체 초거대AI(믿:음)와 오픈AI의 GPT, 메타의 라마 등을 함께 활용하는 ‘멀티 LLM’ 전략 기반의 내부업무 혁신 플랫폼 ‘젠아이두(Gen.AIDU)’를 개발하고 전사에 적용한다. 

젠아이두는 생성AI를 이용해 API를 직접 개발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으로 업무편의성을 높이고 보안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상품과 서비스, 업무 지식을 AI로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생성AI 지식응대 서비스(제니)도 공개해 업무에 활용하도록 했다.

초거대AI ‘믿:음’을 이용해 지니TV의 콘텐츠 마케팅 문구를 자동 생성하거나 AI로 콘텐츠의 흥행등급을 예측해 KT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등 핵심 사업에도 AI를 적용, 업무 개선에 나선다.

이외에도 AI가 올바른 목적으로 상용될 수 있도록 AI 거버넌스 체계도 확립할 계획이다. 내부에 적용 중인 AI 윤리원칙을 구체화하고 실무 현장에서 이행가능한 지침 형태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AI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KT는 고객들의 환경과 상황에 맞춤화 된 AI를 통해 빠르게 전환(AI Transformation)할 수 있도록 ▲AI옵스 ▲AI보조 ▲AI에이전트 등 3개 혁신동력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고객의 AI 활용을 위해 데이터 준비와 학습, 배포, 운영까지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AI옵스), AI컨택센터(AICC) 서비스 강화와 생성AI 상담 서비스 확대 등 AI보조를 통한 생산성 제고에 나설 계획이다.

AI에니전트를 통해 초거대AI 기반 서비스를 넘어 TV 등 온디바이스로 이를 확장하고, 금융권을 타깃한 슈퍼앱 개발로 AI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공분야에서는 보안성이 보장된 풀스택 클라우드로 공략을 확대할 계획이다.

KT는 “AI 혁신 동력과 함께 AI 도입부터 구축·운영·관리에 이르기까지 AI 비즈니스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영역을 지원하는 AI MSP(Modeling & Managed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