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폐지되면 알뜰폰 이용자 절반은 ‘통신3사로 이동’
컨슈머인사이트 조사, 단통법 폐지에 소비자 과반수 찬성 폰 교체 예정 알뜰폰 이용자 25%만 ‘알뜰폰 유지’
소비자 10명 중 6명이 단통법 폐지에 찬성하고, 알뜰폰 가입자의 절반은 보조금·지원금이 많다면 통신3사로 옮길 의사가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지난달 28일∼29일까지 만 20∼64세 휴대전화 이용자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정부의 단통법 폐지 방침에 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2일 밝혔다.
단통법 폐지 방침에 대해 ‘처음 듣는다(22%)’, ‘듣긴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잘 모른다(67%)’는 답변이 많았지만 단통법 폐지에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62%로 반대(9%)를 압도했다.
단통법 폐지 후 휴대전화를 구입한다면 전체 응답자 절반(50%)이 ‘현 통신사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더 저렴한 통신사로 이동하겠다’는 응답자도 34%였다.
올해 휴대전화 구매 계획이 있는 소비자의 45%는 ‘폐지 때까지 구입을 유보할 것’이라고 답했다. 내년 후 구매할 계획인 소비자 중 17%는 ‘올해 단통법이 폐지되면 구매를 올해로 앞당길 것’이라고 답했다.
단통법 폐지가 실현되면 알뜰폰 시장의 충격이 클 수 있다는 결과도 나왔다. 휴대전화를 교체할 예정인 알뜰폰 이용자의 48%는 통신3사의 단말기 보조금이 많다면 ‘이통사로 이동하겠다’고 답한 반면 ‘알뜰폰 통신사를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26%에 그쳤다.
단통법 폐지 법안 통과 전이라도 시행령 개정으로 통신사의 보조금·지원금 경쟁이 본격화되면 알뜰폰 시장이 크게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늘고 있는 자급제 구매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휴대전화 교체 예정자의 절반 이상(51%)이 자급제를 선택할 의향이 있다고 했으나 단통법이 폐지되면 자급제를 이용하겠다는 답변이 25%로 크게 줄었다.
자급제 구입을 고려하는 소비자 둘 중 한 명이 통신사 대리점 등에서 구입·개통으로 돌아서는 것이다.
한편, 단통법 폐지에 반대한다는 9%의 응답자가 꼽은 반대 이유(복수 응답)는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비싼 요금제를 유도할 것 같아서(57%) ▲휴대전화 가격이 별로 저렴해지지 않을 것 같아서(43%) ▲통신사 요금제가 비싸질 것 같아서(37%)의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