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익시(ixi) 기반 챗 에이전트 서비스 4종 공개

모바일·AICC 등에 AI 에이전트 접목

2024-04-08     한지선 기자
LG유플러스가 8일 자체 개발한 AI 기술인 ‘익시(ixi)’ 기반의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선보였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인 익시(ixi)를 기반으로 하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공개하고 관련 시장에서 입지 확대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U+상담 에이전트 ▲ 장애상담 에이전트 ▲유독 AI 상품추천 에이전트 ▲U+비즈마켓 솔루션 안내 에이전트 등 4종의 챗 에이전트 서비스를 우선 출시하고 하반기 너겟 요금제 상담, 소상공인 기업 고객 상담을 위한 챗 에이전트도 출시할 예정이다.

AI 에이전트는 정해 놓은 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순한 봇에서 진화한 기술이다. 새로운 질문이나 명령을 스스로 이해하고 판단해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업무가 가능하다.

LG유플러스는 대부분의 사업 영역에서 AI 에이전트 기술을 통합하는 플랫폼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챗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모바일과 AI컨택센터(AICC), IPTV, 구성원 업무 지원 등 업무 전 영역을 혁신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통해 본격적인 AI 비서 시대를 개척한다는 포석이다.

LG유플러스는 “AI 에이전트 플랫폼 구축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하는 방식을 혁신해 나가는 한편 AI를 활용한 디지털전환(DT)을 통한 차별적 고객가치 창출에 전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챗 에이전트는 기존 챗봇과 달리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의 AI기술을 활용해 시나리오에 없는 전문적인 질문과 명령도 이해할 수 있다고 LG유플러스는 소개했다.

특히 생성AI 모델 ‘익시젠(ixi-GEN)’을 챗 에이전트 플랫폼에 적용하면 고객의 상담 이력에 대한 학습을 기반으로 스스로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했다.

가령 “로밍 요금제를 알려줘”라고 문의하면 방문 예정인 국가와 기간, 과거 사용 내용 등 정보를 토대로 “OO 고객님, 일본 4일 여행 시에는 A요금제를 추천드려요. 가장 인기가 좋은 요금제는 B요금제지만, OO님은 주로 비즈니스 출장이 많아 데이터가 넉넉한 A요금제가 좋을 것 같아요”와 같은 답변을 주는 형식이다.

LG유플러스는 챗 에이전트 플랫폼 적용으로 상담사 연결로 전환되는 비율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한 챗 에이전트를 사내 업무나 자사의 서비스에 우선 적용하고 B2B 영역으로의 사업 확장도 준비 중이다.

LG유플러스 성준현 AI·데이터프로덕트 담당(상무)는 “이번에 출시한 챗 에이전트 플랫폼의 강점 중 하나는 플랫폼 호환성”이라며 “AICC, 모바일 에이전트 등 향후 출시할 AI 에이전트 플랫폼에 챗 에이전트를 손쉽게 적용하면서 기존에 없던 새롭고 차별적인 고객경험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