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SDC 2024’ 성료…비전AI 범용모델 등 SW 연구성과 공유

개발자 2,500여명 대상 마곡 LG사이언스파크서 양일 간 개최

2024-09-11     최태우 기자
LG전자 CTO부문 박인성 SW센터장(전무)이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가 9일부터 10일까지 양일 간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소프트웨어(SW) 개발자들의 기술 교류와 소통을 위한 ‘LG 소프트웨어 개발자 컨퍼런스 2024(LG SDC 2024)’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LG SW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함께 만들어 나가는 미래’를 주제로 ▲AI/빅데이터 ▲모빌리티/자동차 ▲플랫폼/아키텍쳐 ▲클라우드 ▲이머징테크 ▲ SW기술/개발문화 ▲SW보안 ▲SW관리 등 8개 분야 기술 발표를 진행했다.

LG전자를 포함한 LG 계열사 SW연구원들은 물론 마이크로소프트(MS), IBM, 퀄컴, 아마존웹서비스(AWS), 팔란티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개발자 등 2,500여명이 모여 기술 및 개발 노하우를 공유했다.

이번 행사에서 LG전자를 비롯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LG유플러스, LG CNS의 소프트웨어 개발 담당 임원들이 다양한 사업영역에서 AI 적용사례를 소개하는 릴레이 기조연설자로 나섰다.

LG전자 CTO부문 인공지능연구소 김재철 상무는 기조연설을 통해 LG전자가 개발 중인 ‘LG전자 비전AI 범용 모델(Vision Foundation Model)’을 소개했다.

각 제품마다 필요한 비전AI 기술을 개발해 왔던 것과는 달리 범용 모델은 물체 인식 및 구분, 사람의 자세 인식, 3D 거리 측정 등 다양한 인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아 홈, 모빌리티, 커머셜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 도약을 위한 3대 성장동력인 ▲Non-Hw ▲B2B ▲신사업 분야의 최신 SW 기술 적용사례도 소개됐다.

자동차용 AI 솔루션 개발을 위한 머신러닝(ML) 기술 활용 방법, 웹OS(webOS) 온디바이스AI 기술 현황 및 생성AI와의 결합을 통한 향후 개발 방향과 로봇용 AI 설계 및 LG 로봇의 미래 방향, LG씽큐 클라우드를 위한 플랫폼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기술을 조망했다.

LG전자는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대회와 커널(Kernel) 개발자 기술 교류 모임 등 새로운 프로그램도 도입해 SW 개발 프로젝트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과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제고하고 국내 커널 전문가들이 함께 운영체계의 핵심인 커널 관련 기술 동향도 공유했다고 전했다.

SW 분야의 역량을 갖춘 인재 확보에도 나섰다. LG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대학생 프로그래밍 대회’를 개최했다. LG전자는 1천여명의 대학생·대학원생 참가자 가운데 우수한 성적을 거둔 상위 수상자에게 서류 전형 및 SW코딩테스트 면제 등 채용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LG전자 CTO부문 박인성 SW센터장은 “이번 컨퍼런스로 AI, 클라우드 컴퓨팅, 온디바이스AI 등 최신 기술이 각기 다른 사업 분야에서 이끌어내는 혁신을 나눌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각 영역의 핵심 기술 중심으로 과감한 기술적 진보를 통해 더 나은 고객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