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최수연 “매출 20~25% 규모 R&D 재투자로 생태계 확장”

통합검색에 AI 결합 ‘AI 브리핑’, 핵심 서비스에 AI 원천기술 접목

2024-11-11     김소현 기자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11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컨퍼런스 '단 24' 현장에서 키노트 발표에 나서고 있다. [사진=네이버]

네이버가 11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통합 컨퍼런스 ‘단 24’를 열고 인공지능(AI) 기술의 본격적인 상용화 방안을 공개했다.

최수연 대표는 150분 동안 진행된 키노트 세션 전체를 이끌며 지난해 공개한 하이퍼클로바X, 트윈XR 등 네이버의 AI 원천기술을 수천만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핵심 서비스에 밀착시키는 계획을 공개했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지난해 전세계에서 3번째로 개발된 초거대AI인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하이퍼클로바X)을 공개했고, 이후 1년간 사용자와 판매자, 비즈니스 파트너 등을 위한 수십건의 생성AI 프로덕트를 테스트한 결과 상용화 단계로 들어섰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이제 사용자와 창작자를 위한 AI 도구는 물론, SME와 브랜드사를 위한 비즈니스 솔루션, 보안과 기술력이 요구되는 B2B 사업 영역까지 폭넓은 생성AI 기술 라인업을 갖췄고 이제 이런 네이버의 기술을 실서비스에 밀착시킬 시기”라고 언급했다.

최재호 발견/탐색 프로덕트 부문장은 현재의 통합검색 기술에 AI와 개인화 추천 기술이 결합된 생성AI 검색 기능을 소개했다. 얼마나 좋은 답변을 제공하느냐를 넘어 얼마나 좋은 출처를 많이 보여주는지에 집중한 ‘AI 브리핑’도 이날 공개됐다. 

내년 상반기 중 선보일 AI 브리핑은 영어, 일본어 등 외국어 검색에도 적용돼 외국어 사용자들도 새로운 방식의 생성AI 검색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네이버는 예상했다.

특히 사용자가 검색 의도와 맥락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요약과 추천 기능을 AI가 넛지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검색부터 액션까지 이어지는 완성형 흐름을 만들어 나간다는 목표다.

최 대표는 네이버의 서비스 방향에 대해 “통합검색 속에 AI기술을 녹임으로써 더 많은 콘텐츠들이 트래픽을 받을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창작자 생태계에 더 큰 기회를 가져올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갖고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새로운 생성AI 검색가 많은 창작자가 발굴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측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네이버가 AI 기반 개인화 추천 기술을 적용한 홈피드와 클립을 선보인 이후, 네이버 모바일 메인의 체류시간은 전년동기비 11%, 창작자 규모는 전년비 2배 증가했다.

이일구 네이버 콘텐츠 서비스 부문장 [사진=네이버]

이일구 콘텐츠 서비스 부문장은 “계속해서 네이버의 창작자 생태계가 더 크고 단단해질 수 있도록 새로운 수익화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있다”며 “창작을 쉽고 다채롭게 펼쳐 나갈 수 있는 AI 편집 도구들도 제공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 지도 역시 3차원 기능을 한층 강화한 거리뷰3D 서비스로 진화한다. 이세훈 플레이스 사업 리더는 “기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을 넘어 오프라인 정보를 3차원으로 담아내 더 생생한 경험과 최적화된 공간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고 소개했다.

증강현실(AR) 내비게이션, 실내지도, 가상현실(VR) 실내투어 등 기능도 새로 선보인다.

네이버랩스는 현재 공간 AI 분야와 관련해 사우디아라비아는 물론 스위스 로봇 스타트업 스위스-마일과 건설 현장에서 로봇 애플리케이션 공동 연구, 일본 NTT동일본과 스마트빌딩 내 로봇 및 AR 가이드 적용 프로젝트 등을 준비 중이다.

광고 플랫폼에도 AI기술을 적용한 플랫폼(ADVoost)을 구축했다. 이 플랫폼은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광고주가 AI기술을 이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타겟팅으로 광고주에게는 최적화된 광고 솔루션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더 관련성 높은 광고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원천 기술인 검색에 지속 투자하면서 국내 시장을 지켜왔듯 국내 AI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매출의 20~25% 규모의 R&D 투자를 통한 기술 개발은 계속해서 이어나갈 것”이라며 AI 투자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