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에이전트 ‘에스터’, 3월 북미 사용자 대상 베타 서비스
빅테크·텔코·서드파티 등과 협력해 AI 생태계 확장
SK텔레콤이 글로벌향 개인 AI에이전트(PAA) ‘에스터(Aster)’를 3월 북미 사용자를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로 출시한다.
SK텔레콤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CES 2025’에서 에스터 서비스 사업 방향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에스터를 미국 현지에서 소개하는 건 처음이다. SK텔레콤은 앞서 지난해 11월 한국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에스터 개발을 최초로 알린 바 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AI에이전트 에스터는 크게 ▲계획 ▲실행 ▲상기 ▲조언 등 4개 기능을 구현한다.
이용자의 모호하거나 복잡한 요구에도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실행 가능한 계획을 단계적으로 세워주고, 각 일정에 대한 리뷰 확인과 예약·결제까지 한 번에 실행하도록 도와준다.
예정된 계획 상황을 다양한 형태로 알려주고, 능동적이고 적절한 제안도 가능하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용자와 AI에이전트 간 소통을 통해 해답을 찾아가는 에스터의 서비스 형태가 다른 AI서비스들과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설명했다.
에스터를 통한 AI 생태계 확장도 추진한다. 대규모 AI서비스 수요가 필요한 빅테크, 합리적 가격의 AI서비스 공급을 원하는 텔코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려는 서드파티 개발사들이 에스터라는 AI허브에서 공존을 모색할 수 있다.
대화형 검색 서비스인 퍼플렉시티를 에스터에 탑재하는 등의 파트너십을 추진 중이다.
SK텔레콤은 베타 서비스 출시를 위해 CES 기간부터 베타 서비스 참가자 모집을 시작한다. 하반기 미국 정식 출시를 거쳐 내년에는 타 국가들로 서비스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정석근 SK텔레콤 GPAA 사업부장은 “기존의 다른 AI서비스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 단순 답변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반면 에스터는 일상에서 필요한 액션까지 수행하는 에이전틱AI로써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올해 정식 출시를 앞두고 에스터만의 생태계를 확장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