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올해 24조3000억원 국내 투자…역대 최대 규모
국내 연관산업 생태계 활성화, 전후방 산업 동반성장 도모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국내 투자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9일 올해 24조3000억원을 국내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집행액인 20조4000억원 대비 19% 늘어난 것으로 연간 기준 역대 가장 많은 금액이다.
현대차그룹은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판단했다”며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올해 투자는 중장기 투자 방향성에 따라 차세대 제품 개발과 핵심 신기술 선점, 전동화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집중된다. 구체적으로 ▲연구개발(R&D)투자 11조5000억원 ▲경상투자 12조원 ▲전략투자 8,000억원을 각각 집행한다.
연구개발 투자는 제품 경쟁력 향상, 전동화, 소프트웨어정의차량(SDV), 수소 제품 및 원천기술 개발 등 핵심 미래 역량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성능과 연비가 뛰어난 하이브리드 모델과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EREV(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 등을 앞세워 전기차(EV)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는 목표다.
전동화 전환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2030년 경제형에서부터 럭셔리, 고성능까지 21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하고 기아도 2027년까지 다양한 PBV를 포함해 15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SDV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SW) 내재화를 통해 2026년까지 차량용 고성능 전기·전자 아키텍처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경상투자는 EV 전환 및 신차 대응 생산시설 확충, 제조기술 혁신, 고객체험 거점 등 인프라 보완 등에 투입된다.
EV 전용공장 건설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다. 지난해 기아 광명 EVO 플랜트를 가동하고 소형 전기차 EV3 생산을 시작한데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기아 화성 EVO 플랜트를 완공하고 고객 맞춤형 PBV 전기차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 현대자동차 울산 EV 전용공장에서는 초대형 SUV 전기차 모델을 시작으로 다양한 차종을 양산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SW, AI 등 핵심 미래 사업 경쟁력도 강화한다. 2025년 국내 투자를 사업군별로 분류하면 완성차 분야 투자액이 16조3000억원을 차지한다.
EV, SDV 전환 대응 원천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차세대 연료전지 시스템과 수소버스·트럭 개발, 수소충전소 구축 등 수소 제품 및 기술 연구와 생태계 구축에도 매진한다.
한편 완성차 분야 외에 부품·철강·건설·금융 및 기타 사업 분야에서도 신사업 발굴, 핵심 사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8조원의 투자를 단행한다.
부품 분야는 전동화 기술 개발 및 설비 투자, 완성차 분야의 신차 대응을 위한 생산라인 신증설, SDV 전환, EV 및 하이브리드용 차세대 친환경 부품 개발, 전기차 모듈 신공장 구축 등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금융 분야의 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IT시스템·인프라 개선을 추진하고 물류 거점과 친환경 자동차 용선 확대, 차량 SW 플랫폼 관련 투자, 방산 및 철도 차량 관련 핵심 역량 확보에도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