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3사 합병작업 마무리…“원소재 조달 역량·재무 건전성 강화”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에 이어 SK엔텀 합병, 시너지 확대
SK온이 3사 합병을 마무리 짓고 성장성과 안정성을 갖춘 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로 도약한다. 시너지 창출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 가치를 높인다는 목표다.
SK온은 1일 SK엔텀과의 합병 절차가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발표한 SK온-SK트레이딩인터내셔널-SK엔텀 3사 간 합병작업이 완료된 것이다. 3사 합병 법인의 이름은 SK온이다.
앞서 SK온은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과 지난 11월 합병했다. 합병 후 기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새 사명 ‘SK온트레이딩인터내셔널’을 사용하며 SK온 내 사내독립법인(CIC)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SK엔텀은 SK온트레이딩인터내셔널의 터미널 사업부로 사업을 수행한다. SK엔텀은 국내 최대 사업용 탱크 터미널로서 유류화물 저장 및 입·출하 관리 전문기업이다.
3사 합병을 통해 SK온은 ▲원소재 조달 역량 ▲재무 건전성을 강화해 배터리 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SK온은 SK온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 지닌 트레이딩 역량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원소재 조달 역량을 강화한다. 특히 SK온트레이딩인터내셔널의 트레이딩 노하우를 통해 원소재 구매 비용 절감은 물론 가격 변동성, 거래 리스크 등 시장 위험 요소 대응에서 합병 시너지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사측은 기대했다.
이번 합병을 통해 SK온의 재무 구조도 개선될 전망이다. 합병 전 13조원·33조원인 SK온의 매출과 자산 규모(2023년말 기준)는 합병 후 각각 62조원·40조원으로 커진다.
연간 5천억원 규모의 감가상각 전 영업익(EBITDA) 추가도 기대된다. 합병된 회사들이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실적 민감도가 낮고 제한적 설비투자(CAPEX)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안정적 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SK온은 개선된 재무 구조를 바탕으로 제조 경쟁력·연구개발 역량 강화,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등에 박차를 가해 차별적 경쟁우위를 갖춰 간다는 계획이다.
트레이딩 사업은 기존 석유 중심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리튬·니켈·코발트 등과 같은 배터리 광물·소재 트레이딩 사업으로의 확장이 용이할 전망이다. 기존 SK엔텀의 탱크 터미널 자산을 활용한 트레이딩 효율성과 수익성 향상도 기대했다.
SK온은 각 사업의 특성을 감안해 합병 후 CIC 형태의 독립적 운영 체계를 유지하면서 시너지를 창출하며 미래 성장 가치를 키우고 대내외 경영 환경 변화를 함께 이겨내는 방향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구성원의 적극적 소통과 협력을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SK온 관계자는 “합병을 통한 시너지 창출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적 성장의 발판이 마련될 것”이라며 “성장성과 안정성을 고루 갖춘 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