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제조기업 AI 활용에 제한…업종 고려한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필요
중기부, ‘스마트제조 정책혁신 라운드테이블’ 개최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의 인공지능(AI) 활용 분야를 다양화하고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9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스마트제조 정책혁신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기술 혁신 시대에 중소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라운드테이블은 제조 분야 AI기술 전문가들과 산업계·학계·지원기관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김주미 수석 연구위원은 중기부의 AI솔루션 실증 지원사업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조 중소기업의 AI 활용실태를 공유했다.
김 수석 연구위원은 “글로벌 제조기업들은 이미 다양한 영역에서 AI를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 중소 제조기업은 여전히 제품 생산 가치사슬의 일부 영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소 제조기업의 전후방 가치사슬 전반으로 AI 적용을 확대하고 적용 분야 역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연구원의 이상현 디지털·AI 전환생태계 연구실장은 국내외 전문기업 지정제도의 운영 현황과 기술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관점에서 전문기업 지정제도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 기대효과 등에 대해 설문조사 내용을 발표했다.
이 연구실장은 “스마트제조산업에서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은 공급·수요기업 간 신뢰성 확보, 안정적 협업 가능성의 증대 등 긍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고 언급했다.
이어 “스마트제조산업을 구성하는 분야가 품목·서비스별로 다양하므로 업종 특성에 맞는 전문기업 지정요건을 수립하는 한편, 전문기업이 자발적으로 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유인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참석한 학계 전문가들은 제조업 강국인 한국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제조데이터가 확보될 수 있어 AI기술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을 끌어내기에 적합한 환경이며 발전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다만 중소 제조기업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 부족한 점, 중소 제조현장에서 활동할 AI인재를 구하기 쉽지 않은 점, 영업비밀 유출 우려나 데이터 표준 미비 등으로 AI 모델 개발을 위한 제조데이터의 공개를 기피하는 관행 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지정제도의 도입과 관련해 회의에 참석한 로봇 등 자동화기기, 정보화 솔루션, 지능화 서비스 분야를 대표하는 기업들은 AI기술 혁신 시대에 유망 성장 분야인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육성은 시기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또 업종별 특성이 잘 반영되는 공급기업 역량진단 체계와 전문기업 지정 기준 마련과 선정 기준에 미흡한 기업에 대해서도 성장 사다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권순재 중기부 제조혁신과장은 “AI기술은 제조분야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회이자 핵심 기반 요소기술로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중소기업·학계와 협력해 중소제조업의 AI기술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한국 스마트제조산업 생태계의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