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한 장으로 초실사 AI아바타 생성 가능”
ETRI, 정교한 표정·입모양 구현한 AI아바타 생성 기술 개발 키오스크·은행·뉴스·광고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기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단 한 장의 인물사진으로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말하는 초실사 인공지능(AI) 아바타 생성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음성 기반의 AI비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단순한 명령 수행에 그쳤으나 ETRI가 개발한 초실사 AI아바타는 정교한 표정과 입 모양 표현을 통해 실제 사람과 같은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특징을 지닌다.
즉, 차량 내 AI 운전기사가 운전자와 대화하거나 보행자와 소통하는 등 인간친화적인 사용자경험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ETRI는 입술, 턱 등 발화와 직접 연관된 부위를 선별적으로 학습·합성하는 독자 알고리즘이 AI아바타 생성 기술의 핵심으로 꼽았다. 불필요한 정보 학습을 줄이면서 입 모양, 치아, 피부 주름 등 세밀한 얼굴 표현을 더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ETRI에 따르면, 이 기술은 CVPR, AAAI 등 국제 주요 학술대회 발표 기술들보다도 합성 화질(Visual Quality)과 입술 동기화 성능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자율주행차 외에도 ▲키오스크 ▲은행 창구 ▲뉴스 진행 ▲광고 모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해 AI 기반 디지털휴먼 산업의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잠래젹을 지닌다.
ETRI는 향후 AI 아바타가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움직이는 생성AI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으로, 주문·상담 등 일부 인력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상호작용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윤대섭 모빌리티UX연구실장은 “모빌리티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노인이나 사회적 약자들이 소외될 수 있다”며 “이번 AI아바타 기술이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기여하고, 모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