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스첨단소재 “차세대 OLED 소재, IT기기로 적용 확대”
솔루스첨단소재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부의 주요 디스플레이 소재가 다양한 IT기기에 적용을 앞두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노트북·태블릿 등 IT기기향 전자수송층(ETL) 및 정공방어층(HBL) 신규 개발 소재들이 고객사 승인을 마치고 양산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ETL은 발광층으로써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키는 층으로 전기적 안정성을 지닌 우수한 장수명 구조로 소비전력 저감 기술이 적용된 저전압 특성을 가지고 있다.
HBL은 RGB(적/녹/청)의 3개 발광소재 중 유일하게 형광소재가 사용되는 블루(Blue)의 발광효율을 에너지 손실 없이 최대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신규 소재의 양산은 올해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HBL은 글로벌 프리미엄 IT기기 향으로 적용될 예정으로 고객사 승인을 완료하고 내년 초 양산 계획이다. 앞서 올해 하반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품에 먼저 적용되며 현재 양산 준비중이다.
HBL과 ETL 세트 형태로도 진입한다. 노트북·태블릿 등의 IT기기에 적용되며 올해 말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특히, IT시장의 경우 온디바이스AI 트렌드가 확대됨에 따라 OLED 디스플레이 침투가 가속화되며 관련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최근 대형TV에 채택된 ETL 역시 HBL 이후 솔루스첨단소재가 지재권(IP)을 가진 유기재료로 국내 고객사에 진입한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ETL은 그간 해외 고객사에게만 공급돼 왔으나 최근에 국내 고객사 대형TV 향으로도 공급을 시작했다.
솔루스첨단소재 김태형 사장은 “오랜시간 공을 들여왔던 신규 소재들의 승인이 안정적으로 잘 이뤄지고 있는 중”이라며, “자체 IP를 보유한 차세대 제품들의 고객사 채택이 확대되며 기술적 우수성을 증명하고 있다. 일반형부터 수익성이 높은 프리미엄 제품까지 발광·비발광 영역을 아우르며 다양한 시장 공략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