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AI 스타 펠로우십 지원사업’ 컨소시엄 신규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AI 스타 펠로우십 지원)’ 사업의 2025년도 참여 4개 대학 연합체를 신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연구 생애주기 중 가장 창의적이고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도전적이고 실력 있는 신진연구자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신설됐다. AI 융합 분야 신진연구자가 프로젝트 리더로서 직접 이끌어가는 창의·혁신적인 연구과제를 지원하는 것으로 2030년까지 총 460억원을 지원한다.
4개 컨소시엄은 각 대학 연구실의 신진연구자와 각 분야 선도기업이 함께 협력해 AI 분야의 혁신·도전적인 공동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신진연구자가 혁신적인 연구에 몰두해 최고의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운영계획을 제시했다.
고려대학교는 차세대 에이전트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신뢰형 도심 완전자율주행 모형, 온디바이스AI, 분자 모형 기반 화학 에이전트에 특화된 연구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 AI연구원과 협력해 산업계 수요 기반의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한국과학기술원은 지식체계 확장가능 AI 추론 모형 및 바이오·의료 응용 과제를 통해 의료지식 기반 소형언어모델(SLM), 고성능 추론 AI 및 바이오 온톨로지 기반 기술을 개발한다.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히츠와 산학협력을 통해 바이오·의료AI 융합 전문가를 육성할 계획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인간중심 공생적 내장형 AI 체계를 기반으로 인간-물리 피지컬 AI 공생 기술, 실시간 내장형 인공지능 플랫폼, 다중모달 신호 처리용 신경처리장치(NPU) 설계를 추진하며 LG전자, 코카로보틱스, 퓨리오사AI와 함께 첨단 융합기술 기반 연구자를 양성할 계획이다.
국민대학교는 멀티모달 기반 로봇 특화 체화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통해 로봇 특화 생성AI 기술, 가상-현실 통합 플랫폼 연구를 추진하며 바이브컴퍼니, 레인보우로보틱스, 케이알엠과 협업해 로봇 및 실감형 AI 분야의 특화 연구자를 양성한다.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연구 생애주기에서 가장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시기에 있는 신진연구자들이 AI 연구과제의 주축이 되는 사업”이라며 “향후 연구기관과 참여 기업의 협력을 통해 신진연구자들이 세계 최고의 AI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파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