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 키운다…중기부, ‘레벨업 전략’ 발표
중소벤처기업부가 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 지원 확대에 나선다. 중소기업 맞춤형 중점 분야 기술 육성을 추진하고 규제자유특구 조성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집중한다.
중기부는 7일 경기도 화성에 있는 자원순환 기업 수퍼빈에서 기후테크 분야 창업기업과 ‘스타트업 현장 대화’ 행사를 개최했다.
중기부는 이날 ‘스타트업 주도의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레벨업 전략을 발표했다. ‘공정혁신’과 ‘자원순환’이라는 중소기업 맞춤형 2대 중점분야 기술 육성에 나선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기술 검증에 필요한 자금 지원과 인공지능(AI) 첨단 기술 융합을 촉진하고 SK이노베이션·포스코 등 기후 분야 관심도가 높은 대기업과의 공동 사업화와 스케일업(확장)을 지원한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하는 ‘K-테스트베드’를 연계해 성과가 우수한 기업의 조달시장 진출도 돕는다.
기술 역량을 보유한 기후테크 창업자의 도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한다.
기후테크 분야 전문성을 갖춘 특화형 팁스(TIPS) 운영사를 지정·활용하고 관련 스타트업이 딥테크(선행기술) 팁스를 수행하면 ‘초격차 1000+’ 프로젝트를 지원할 때 우대하기로 했다.
초격차 벤처캐피탈(VC) 멤버십을 구성·운영해 실질적인 투자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혁신 스타트업의 글로벌 도약을 위해 지역 전략자원 활용성을 제고하고 네트워크 확보 등도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민관 협업을 통해 빌&멀린다 재단, 빌게이츠가 기후기술 투자를 목표로 설립한 기후펀드인 에너지혁신펀드(Breakthrough Energy Ventures, BEV) 등 주요 펀드·보조금의 정보를 제공한다.
전용 규제자유특구 조성과 관련 행정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기후테크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지역의 산업환경과 역량 등을 종합 고려해 기후테크 5대 분야별 규제자유특구를 신규로 조성할 예정이다.
또 2027년까지 기후테크 기업을 테마별로 5개 이상씩 발굴·육성해 28조원 규모의 중소기업 간 경쟁시장 진입을 도울 계획이다.
현장 대화에 참석한 혁신 기후테크 기업들은 “기후변화 대응 제품은 공공재 성격이며 발 빠른 기술개발과 적기 투자가 요구된다”며 “중기부가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기후 스타트업 주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