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 전북자치도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도시 문제 진단·해결 지원 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 혁신 기틀 제공

2025-06-10     오현식 기자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전북특별자치도에 카카오클라우드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전했다. 전북자치도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도시 문제를 진단·해결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를 구축했다.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는 도시 내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해 데이터 기반의 도시 운영·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2022년부터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보급 사업’을 통해 광역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데이터허브 구축을 진행했다.

전북자치도의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플랫폼은 행정안전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중심 공공부문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 계획’에 발맞춰 단순한 이전 방식이 아닌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구축됐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기반으로 ▲데이터허브 필수 모듈 3종(데이터 코어 모듈, API 게이트웨이 모듈, 보안 모듈) ▲도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옵션 모듈 1종 ▲실제 데이터를 활용해 AI로 학습 모델을 생성·검증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분석 모듈 1종을 구성하고 도시재난 예방 서비스, 안전시설물 관리서비스 등 2종의 시범 서비스를 우선 구현했다. 

이를 통해 전북자치도는 AI시대를 맞아 도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기반을 마련했다. 광역 단위 데이터허브를 구축해 도내 14개 시·군이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 시 데이터허브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와 시·군간 연계 예정인 스마트 도시안전망을 활용해 데이터허브에 각종 도시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할 계획이다. 또 표준화된 데이터허브 환경을 조성해 향후 타 지자체 간에도 데이터 연계가 가능할 전망이다.

김형우 전북자치도 건설교통국장은 “중요한 데이터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의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플랫폼을 구축했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보유한 클라우드네이티브 전환 사업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이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이재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부문 사업본부장은 “국내 대표 클라우드서비스제공업체(CSP)로서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한 클라우드네이티브 우선 적용을 기본 원칙으로 삼고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클라우드 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2023년 전라북도, 전주시 등 15개 공공기관·기업과 손잡고 지역 소재 공공기관의 디지털전환 사업 및 디지털혁신 생태계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 전라북도 디지털 대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클라우드네이티브 전환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도내 공공기관의 디지털전환 사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