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국회 기후위기특위위원장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경영계 의견 경청”

한경협 K-ESG 회의 특강, 산업계 적극적인 의견 개진·참여 당부

2025-06-20     최태우 기자
한정애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위원장이 20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11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 참석해 '기후 위기와 대한민국의 정책적 과제'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한경협]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한정애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20일 중장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마련 과정에서 경영계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날 한국경제인협회 ‘제11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 참석해 특별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한 위원장은 특별강연에서 “기후위기는 생존위기이자 사회적 위기”라 강조하며 “새 정부는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상설화를 통해 범정부 차원의 기후·에너지 통합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산업별 저탄소 공정 전환 지원을 위해 탄소중립산업법을 제정하고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겠다고 언급했다. 

RE100 산업단지, 남서해안 해상풍력 메카, 에너지 고속도로(해상 송전전력망) 등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밝히며 새 정부의 에너지 대전환을 예고했다.

한 위원장은 “2049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마련하는 것이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의 핵심 과제”라며 “기업 재무에 실질적 영향이 있을 수 있는 만큼 국회 차원에서 충분히 의견을 들으면서 제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산업·에너지·수송 등 각 부문별 장기 전략 수립 과정에서 산업계의 적극적인 의견 개진과 참여를 당부했다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은 개회사에서 “지난 영남지역의 대형 산불처럼 기후위기가 현실이 되고 있고 피해는 점점 커지고 있다”며, “온실가스 감축은 이제 모든 사회 구성원이 함께 책임지고 실천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기업들도 정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에 발맞춰 탄소포집·저장(CCUS), 수소환원제철,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탄소저감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올해 설정될 2035년 NDC가 정부와 산업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합리적으로 수립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