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日 시장 점유율 1위 ‘라인웍스’ 전방위 확장
AI로 현장 혁신, 협업 ‘툴’에서 ‘플랫폼’으로 진화
네이버클라우드가 일본에서 서비스 중인 업무용 협업 툴 ‘라인웍스’ 10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라인웍스의 주요 성과와 일본 B2B 사업 전략을 밝혔다.
간담회에서는 일본 사회의 주요 과제인 고령화와 인력 부족에 대응하는 현장형 AI 전략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툴에서 AI 기반 업무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라인웍스와 복지 행정에 AI를 접목한 케어콜 사례를 공유했다.
시장조사기관 후지키메라에 따르면, 라인웍스는 2017년 이후 7년 연속 유료 업무용 메신저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점유율 41%를 기록해 업계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 연 매출도 매년 약 40% 성장하며 2025년 7월 기준 연간반복매출(ARR) 160억엔을 돌파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라인웍스는 단순한 협업 툴을 넘어 AI를 기반으로 한 업무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추후 채팅·이메일·캘린더 등으로부터 일간보고 등 반복적이고 패턴화돼 있는 업무를 AI가 자동 분석·처리하는 AI에이전트 기능을 포함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AI 기능을 추가 확대하며 ‘일하는 사람을 위한 AI 툴’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사무 환경 중심의 AI 활용사례 중 하나인 케어콜의 경우, 인력 의존도가 높은 복지 현장에 AI를 적용한 사례로 최근 일본 시마네현 이즈모시는 네이버클라우드와 협약을 체결하고 케어콜을 도입하기로 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는 복지사가 직접 수행하던 전화 확인 업무에 AI를 적용한 일본 최초 사례”라며 “지자체 복지 행정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케어콜과 라인웍스는 모두 디지털화가 더딘 현장에 AI기술을 접목해 실제 업무를 혁신하고 있다”면서 “다른 분야에서 출발했지만 공통적으로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 현장’을 AI로 보완하고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미션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는 이제 기술 경쟁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의 실질적 수단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일본에서 축적한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동일한 과제를 안고 있는 다른 나라로의 확장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라인웍스와 케어콜 외에도 일본 B2B 시장에서 다양한 기술 기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일본 리전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게임 산업 진출을 위해 지오피·클루커스 등 현지 파트너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김 대표는 “각 나라가 안고 있는 사회적 과제를 기술로 풀어가는 것이 네이버클라우드가 B2B를 통해 지향하는 궁극적인 방향이자 소버린AI의 철학”이라며 “앞으로도 클라우드와 AI기술을 기반으로 한 현장 중심의 B2B 서비스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