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버, 루시드에 3억 달러 투자…“로보택시에 루시드 SUV 도입”

뉴로 자율주행 기술 탑재한 그래비티 2만대 이상 인수·배치

2025-07-18     최태우 기자
아일랜드 더블린 거리에 세워진 우버 택시 [사진=로이터]

우버가 향후 6년 간 2만대 이상의 로보택시 도입을 위해 관련 업계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17일(현지시간) 우버는 이번 파트너십에 전기차(EV) 제조 스타트업 루시드, 자율주행 스타트업 뉴로가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 계약에 따라 우버는 루시드에 3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우버와 루시드는 내년부터 미국 주요 도시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뉴로는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해 루시드 그래비티 SUV 차량에 이를 공급하고, 루시드는 우버에 이 로보택시를 공급하게 된다. 뉴로도 수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벳 자회사인 ‘웨이모’ 엔지니어가 공동 창업한 뉴로는 구글과 일본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의 투자를 받은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으로 기술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루시드는 1회 충전 시 450마일(약 724km)의 주행이 가능한 자체 개발한 SUV 차량 ‘그래비티’를 포함해 향후 개발하는 차량을 제공할 예정이다.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CEO는 “우버 플랫폼에 맞춰 특별히 설계된 이번 로보택시 프로그램을 통해 뉴로 및 루시드와 파트너십을 맺게 돼 기쁘다”며 “자율주행 기술의 마법을 전세계 더 많은 사람에게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들 기업 간 계약은 관련 업계에서 제한된 수량의 차량만을 한정해 투자를 단행해 온 것과 달리 로보택시에 재정적 계획이 새로 수립·추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현재 테슬라는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의 시범운행을 시작했고 알파벳의 자회사인 웨이모도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특히 웨이모의 자율주행 거리는 이달 기준 1억 마일을 돌파했다.

우버는 앞서 지난해 웨이모, 오로라 등 관련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우버가 차량공유 서비스를 통해 축적한 고객의 앱 플랫폼을, 웨이모가 이를 활용해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다.

로이터는 “우버의 이같은 움직임은 2020년 로보택시 분야에서 철수한 후 다시 진출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우버는 과거 한때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을 추진하며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오토’를 인수했으나 법적 문제가 제기되면서 2020년 자율주행차 사업부를 매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