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AI기술 활용과 민·관 협력 통해 보이스피싱 근절”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간담회, AI기술 적극 활용 강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통신3사와 보이스피싱 예방 대책을 논의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한 피해 예방과 대응을 강조했다.
8일 KT 광화문 사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는 민·관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배경훈 장관을 비롯해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민·관 전문가가 참석했다.
KT는 지난해 10월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로 지정된 실시간 통화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시작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보유한 실제 보이스피싱 통화 내역을 활용해 탐지 정확도를 높였고 올해 탐지율 95% 이상, 약 2천억원의 피해 예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텔레콤은 2021년부터 경찰에 신고된 보이스피싱 전화번호의 수·발신을 자동 차단하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AI로 조작한 딥보이스에 대한 탐지 서비스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도 지난해 11월 출시한 익시오(ixi-O) 앱에서 실시간 보이스피싱 경고 알림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 6월 전국 1,800여개 모든 매장을 ‘보안 전문 매장’으로 전환해 고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상담과 보안 조치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LG유플러스도 정부기관이 보유한 보이스피싱 성문 정보를 이용해 자사의 탐지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도록 ICT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하기로 했다.
통신3사는 국민들이 모바일 앱 스토어에서 보이스피싱 탐지 앱을 내려받아 설치하면 보이스피싱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보이스피싱 예방 캠페인을 합동으로 진행하는데 뜻을 같이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앞으로도 공익 목적의 AI서비스 개발에 실제 통화 내용·성문 등 양질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법의 적극적 해석과 법령 개정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경훈 장관은 “보이스피싱과 같은 디지털 범죄에 맞서 강력한 방패가 되어줄 수 있는 AI기술을 활용해 민·관이 협력하면 보이스피싱을 근절해 나갈 수 있다”며 “보이스피싱 대응 서비스가 국민들에게 잘 알려지고 활용돼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서비스 고도화와 적극적인 홍보를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