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중국 수출 대가로 美 정부에 매출 15% 제시
FT 보도, 수출 통제 전문가들 “전례 없는 일”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에 반도체 수출하는 대가로 중국 내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제공하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정부 당국자를 포함한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엔비디아가 중국 내 H20 칩 판매 수익의 15%를 나눠 갖는 데 합의했고, AMD는 MI308 칩 판매 수익의 동일한 비율을 제공하기로 했다는 것이 보도의 핵심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렇게 받은 자금을 어떻게 사용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앞서 이달 8일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엔비디아에 수출 허가를 발급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앞서 이달 6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수출 허가 문제를 논의한 지 이틀만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수출 통제 전문가들에 따르면, 어떤 미국 기업도 수출 허가를 위해 매출의 일부를 지불하기로 합의한 적이 없다”며 이번 합의가 전례없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4월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위해 성능을 낮춰 설계한 H20 칩의 수출을 금지했지만 지난달 입장을 바꿔 수출 재개를 허용한 바 있다. 하지만 미 상무부의 H20 칩 수출 허가 발급이 지연됐고 최근까지 중국에 대한 판매는 이뤄지지 않았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소식통을 인용해 AMD에 대한 중국 수출 허가증 발급도 시작됐다고 전했다. AMD는 이와 관려된 확인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이같은 합의에 동의했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고 “우리는 미국 정부가 세계 시장 참여를 위해 설정한 규칙을 준수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에 밝혔다.
리서치업체 번스타인은 올해 초 규제가 시작되기 전 엔비디아가 올해 중국에 약 150만개의 H20 칩을 판매하고 약 230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트럼프 행정부가 H20 수출을 통제하자 “수출 규제는 오히려 중국 기업만 더 강하게 만든 실패한 정책”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 보안 전문가들은 H20이 중국 군에 도움을 주고 미국의 AI 역량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해 왔다.
이 사정에 정통한 일부 BIS 관계자들도 우려를 표했다.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H20이 중국의 첨단 AI 역량을 강화하는 강력한 가속기”라며 “궁극적으로 중국 군에 의해 사용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엔비디아는 이같은 주장을 “오해”라고 주장하며 중국이 H20을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주장을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