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1차 예비유니콘 특별보증 기업 15개사 선정·발표
샌드박스네트워크, 스트라드비젼 등 ICT/DNA 기업 60% 차지
예비유니콘 특별보증은 정부가 추진하는 ‘K-유니콘 프로젝트’의 핵심사업 중 하나로 선정된 기업은 최대 100억원의 특별보증을 받을 수 있다.
최종 발표는 전문심사단(15명)과 국민심사단(60명)이 공동 평가했다. 선정기업 분석 결과 평균 투자금액은 298억원으로 200억원 이상 투자유치(60.0%, 9개) 기업이 가장 많았다. 300억원 초과 기업도 5개에 달했다.
기술보증기금의 기술·사업성 평가 BBB등급 이상이 60.0%를 차지할 정도로 우수 기업이 많았다. 코로나19 국면에서 각광받고 있는 비대면 기업(60.0%, 9개)도 다수 선정됐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기술(ICT) 및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기반의 플랫폼 분야 혁신기업(60%, 9개)에 이어 일반 제조업 분야(26.7%, 4개), 바이오분야(13.3%, 2개) 순으로 많았다.
최종평가에서는 리브스메드가 최고 성적을 거뒀다. 주요 제품은 다관절 복강경 수술기구다. 이 수술기구는 상하좌우 90도 회전이 가능해 수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제품으로 기술과 사업성 평가결과가 선정 기업 중 최고 수준인 AA 등급이다.
투자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프레시지로 누적 투자금액이 900억원을 넘는다. 프레시지는 가정 간편식인 밀키트(meal kit)를 사업화해 온·오프라인 시장에서 사세를 넓히고 있다. 모바일 사용자 정보를 수집·분석해 광고주에게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광고마케팅 플랫폼 기업인 아이지에이웍스도 38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중기부 차정훈 창업벤처혁신 실장은 “예비유니콘 특별보증 지원기업 선정에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위해 국민심사단의 참여하에 진행됐다”며 “정부는 예비유니콘 기업들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예비유니콘의 성장 과정도 지속적으로 홍보해 많은 국민들이 지켜보고 응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