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스토리지, 람다256에 STaaS 플랫폼 공급
람다256 블록체인 서비스 효율화, 스토리지 유연성 극대화
퓨어스토리지는 국내 블록체인 기술 기업 람다256이 퓨어스토리지의 서비스형 스토리지(STaaS) ‘에버그린//원’을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람다256은 STaaS를 통해 블록체인 노드와 데이터 서비스를 극대화하고 있다.
람다256은 블록체인 전문 기업으로 웹3 개발자를 위한 블록체인 노드 서비스와 데이터 인덱싱 서비스인 노딧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부터 기업까지 누구나 쉽고 빠르게 다양한 규모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람다256에게 방대한 온체인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역량은 필수다.
기존 람다256은 20개 이상의 퍼블릭 체인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지원하면서 데이터 운영에서 여러 한계점에 직면했다.
블록체인 서비스는 일반적인 데이터 서비스와 달리 각 노드의 독립적 데이터 검증을 위해 데이터 서비스 컴포넌트의 가용성과 스토리지 가용성을 분리할 수 없어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람다256은 최소 4개의 노드를 운영해야 했고, 그만큼 스토리지 용량과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컸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스냅샷을 기반으로 디스크 볼륨을 복구하는 데도 과도한 시간이 소요됐다. 블록체인 데이터셋의 크기가 10TB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신규 노드를 설정하거나 복구하기 위해 스냅샷에서 볼륨을 만드는 데 수 일의 시간이 소요돼 노딧 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람다256은 퓨어스토리지의 STaaS 서비스 에버그린//원을 도입해 간편한 스토리지 관리를 실현하고, 서비스 안정성도 향상시켰다.
에버그린//원의 구독형 서비스수준협약(SLA)을 기반으로 필요한 성능과 용량만 설정하면 퓨어스토리지가 적합한 스토리지로 업그레이드를 제공해 람다256은 스토리지 계획과 데이터 관리 부담을 덜고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게 됐고 서비스 연속성도 확보했다.
특히 에버그린//원의 사용량 기반 과금으로 람다256는 실제 사용량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해 스토리지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고, 재무적 부담을 최소화했다.
퓨어스토리지는 신규 스토리지 인프라를 람다256의 쿠버네티스 영구 볼륨(PV)과 통합해 운영 중단 없이 원활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했다.
람다256 오재훈 기술연구소장은 “퓨어스토리지 도입으로 스토리지 운영 부담을 줄이고 핵심 서비스 개발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할 수 있게 됐다”며 “SLA 기반 서비스와 무중단 업그레이드는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안정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큰 가치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퓨어스토리지코리아 전인호 지사장은 “퓨어스토리지 플랫폼을 통해 람다256은 비즈니스 성공의 토대를 마련했을 뿐 아니라 블록체인 업계 전반의 성능 기준을 새롭게 세웠다”며 “국내 기업들이 자신 있게 세계적 수준의 혁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