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사우디 주최 사이버보안 포럼 ‘GCF 2025’서 글로벌 보안 전략 공유
안랩이 이달 1일(현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막한 국제 사이버보안 포럼(GCF 2025)에 3년 연속 참가해 국가·산업·기술 전반의 글로벌 보안 과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GCF는 주요 사이버보안 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글로벌 포럼으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후원 아래 사우디 국가사이버보안부(National Cybersecurity Authority)가 주최한다.
올해는 안철수 창업자와 강석균 대표가 함께 초청되며 3년 연속으로 포럼에 자리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통합적 발전의 확장’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안철수 창업자와 강석균 대표는 다양한 일정에 참가해 경제 성장의 핵심으로서의 사이버보안, 국가별 보안 현지화 및 인공지능(AI) 기반 사이버위협 대응 전략 등 글로벌 보안 과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안철수 창업자는 행사 둘째날인 2일 사이버경제센터(CCE)와 세계경제포럼(WEF)이 공동 주최한 세션에서 사이버보안이 국가 경쟁력과 경제 성장의 핵심 인프라임을 강조했다.
안 창업자는 “사이버공격은 더 이상 기술적 사건이 아니라 국가 경제와 글로벌 교역, 투자 신뢰를 흔드는 거시적 위험”이라며, “사이버보안 투자는 피해를 막는 비용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와 성장을 창출하는 전략적 투자”라고 말했다.
또 금융·헬스케어·제조·공급망 등 디지털 의존도가 높은 분야를 주요 취약 섹터로 지목하며 공공·민간 협력과 국제적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의 필요성을 짚고 “사이버보안은 단순한 보호가 아니라 성장과 혁신을 위한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강석균 대표는 행사 첫 날 SITE가 주관하는 제3회 주요 기업인 미팅에 참가해 글로벌 사이보안 리더들과 국가별 보안 현지화 및 AI 기반 사이버위협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강 대표는 국가별 보안 현지화 전략에 대해 “각국에서 데이터 현지화와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보안 기업은 현지 요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글로벌 수준의 신뢰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며, “두 가지를 균형 있게 달성하는 것이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AI 위협에 대한 논의에서 강 대표는 “AI는 혁신의 도구인 동시에 공격자의 무기가 되고 있는 가운데, AI 기반 보안 전략은 선제적·적응적·지속적으로 진화해야 한다”며 “안랩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자체 구축 에이전틱AI 보안 플랫폼으로 탐지·분석·대응에 나서고 있으며 보다 지능적이고 능동적인 보안을 지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안랩은 지난해 SITE와의 합작법인 ‘라킨(Rakeen)’ 설립 후 현지 인프라 구축과 제품 현지화 개발을 추진하고 올해 하반기부터는 제품 판매를 본격화하고 있다. 향후 공급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AI·OT 보안 분야로 협력 범위를 넓혀 중동 지역에서의 보안 생태계 확장과 경쟁력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