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분기 벤처투자·펀드결성 모두 두 자릿수 증가

펀드결성 중 민간출자 83%, 연기금·공제회 역대 최대

2025-11-14     최태우 기자
중소벤처기업부 현판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올해 3분기까지 국내 벤처투자와 벤처펀드 결성액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벤처투자 시장의 회복세 움직임이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3분기 신규 벤처투자 및 벤처펀드 결성 동향’을 발표했다. 벤처투자는 실제 집행 단계에서 기업에 자금이 들어간 것이며 벤처펀드 결성은 투자할 자금을 모으는 단계다.

중기부 발표에 따르면, 신규 벤처투자는 지난 1∼3분기 9조8000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약 13.1% 증가했다.

특히 3분기 실적만 보면 전년동기비 28% 늘어난 4조원으로 집계돼 코로나19 이후 단일 분기로는 첫 4조원을 돌파했고 지난 2분기 기준으로도 32% 증가했다.

역대 3분기 벤처투자액은 2020년 2조2000억원, 2021년 4조3000억원, 2022년 2조6000억원, 2023년 3조2000억원, 2024년 3조2000억원이다.

업력별 투자실적은 창업 7년 이내 창업기업과 후기기업에 대한 투자가 모두 13.1% 늘며 기업 성장단계 전반적으로 투자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벤처펀드 신규 결성액도 지난 2022년 이후 첫 반등했다. 올해 1∼3분기 결성액은 전년동기보다 약 17.3% 늘어난 9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출자자별로는 민간 부문이 83%를 차지하며 펀드 결성 상승세를 견인했고 연기금과 공제회의 출자는 역대 최대인 8,37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1~3분기 출자자 현황 [중기부 자료인용]

비수도권에서도 13개 기업이 1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벤처투자회사·조합의 투자를 분석한 결과 올해 1∼3분기 10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비수도권 기업은 13개사로 나타났다.

셀락바이오, 트리오어, 소바젠 등 바이오기업 5개사와 라이온로보틱스, 넥센서 등 전기·기계·장비기업 5개사 등으로 이들 기업은 대체로 높은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을 인정받아 대형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성숙 장관은 “벤처투자와 펀드결성 규모가 모두 두 자릿수 증가한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며, 특히 비수도권의 경우 바이오·로봇 등 다양한 산업이 성장 중으로 산업 저변 확대를 위해 지방투자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며, “이 흐름에 이어 벤처투자시장 40조원 조성을 위해 벤처 4대강국 도약 방안(가칭)을 연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