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 쓰면 음성으로…일레븐랩스, 한국 시장 진출 선언
초저지연 속도 ‘시스템통합형’ AI에이전트 플랫폼 강점
영국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AI) 오디오 연구·개발 전문기업 일레븐랩스가 21일 한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공동 창업자 겸 CEO는 이날 일레븐랩스의 설립 배경과 인공지능(AI) 연구 및 제품 상용화 과정 등을 소개하며 한국 시장 진출 전략을 공개했다.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일레븐랩스는 기술에 목소리를 부여하고 세상의 지식과 이야기, 그리고 에이전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음성AI 크리에이티브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현재 5천만명 이상의 월간 활성 사용자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EST, 크래프톤, 네이버 등의 국내 고객을 포함한 포춘 500대 기업 중 75%의 활성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고 회사를 소개했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일레븐랩스의 기반 모델은 음성 합성, 오디오, 제어가능성, 인간과 유사한 상호작용에 대한 최첨단 연구를 바탕으로 구현됐다”며, “TTS, STT, AI더빙, 보이스 클로닝, 사운드 효과, 음성 분리, 일레븐 뮤직,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등이 일레븐랩스의 독보적인 제품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자사 AI에이전트 플랫폼의 강점으로 “0.5초 미만의 지연속도로 인간 수준의 자연스러움을 제공하며 7천개 이상의 보이스와 32개 언어를 지원하는 점, CRM·결제 등 다양한 워크플로우를 연결하는 점”을 특징으로 꼽았다.
그는 “경쟁사의 스피치-투-스피치 방식은 감사 및 관측이 어렵고 엔터프라이즈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데 한계가 있으나, 일레븐랩스의 경우 모델 고도화로 스트리밍 ASR/TTS의 지연시간이 크게 감소하고 대규모언어모델(LLM) 추론 속도도 크게 향상돼 지연시간 개선 효과가 뚜렷하다”고 강조했다.
홍상원 일레븐랩스 한국지사장은 “대기업의 65.1%가 이미 AI를 도입했고 근로자의 63.5%가 생성형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한다. 이는 글로벌 평균의 2배가 넘는 수치”라고 언급했다.
이어 홍 지사장은 “한국 정부도 2026년 AI 분야에 10조 1천억원이라는 전례 없는 예산을 편성하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선언했다. 99.98%의 모바일 인터넷 보급률, 세계 1위 5G 인프라 등이 일레븐랩스가 한국시장에 주목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는 K-콘텐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네이티브 수준의 뉘앙스를 재현하는 기술력, 초저지연 음성 에이전트로 24시간 대응하는 고객경험 재창조 전략을 통해 시장에서 입지 확장에 나선다는 목표다.
일레븐랩스는 딥페이크 악용과 저작권(IP) 침해, 출처 불명, 불공정 이용 등의 우려를 방지·차단하기 위해 한 동의(Consent), 통제(Control), 보상(Compensation) 등으로 이뤄진 ‘3C 프레임워크’도 공개했다.
홍 지사장은 동의는 시작부터 철저한 검증 단계며 통제는 완벽한 추적과 차단 시스템, 보상은 공정한 수익 창출 생태계를 구축하며 선순환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지사장은 “한국은 혁신을 가장 빠르게 수용하는 시장이다. 23%의 얼리어답터 비율, K-팝과 K-드라마로 입증된 글로벌 콘텐츠 파워, 까다로운 서비스 기준이 한국 시장을 최적의 시장으로 만들고 있다”며, “일레븐랩스가 한국을 아시아 진출의 핵심 거점으로 선택한 이유”고 배경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