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후·에너지 핵심 기술 중심 초혁신경제 전환 속도전

차세대 태양광 모듈 2028년 최초 상용화 목표

2025-11-26     최태우 기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성장전략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차세대 태양광 모듈을 2028년까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고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추진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세계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등 6개 기후·에너지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초혁신경제 전환에 속도를 낸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초혁신 15대 선도 프로젝트’ 세 번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초고효율 태양광 탠덤셀 모듈을 2028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탠덤셀은 2개의 층을 사용해 빛을 흡수하고 효율을 높인 태양전지다.

기존 태양전지 효율이 기술적 한계에 도달하고 중국 독점 구조가 굳어진 가운데 우리나라 탠덤셀 기술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건물 외벽·지붕 건물 자체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기업과 연구기관, 표준·인증 관련 기관 등으로 구성된 추진단을 구성하고 연구개발(R&D), 실증연구 등을 지원한다.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도 구축한다. 차세대 전력망은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분산 자원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어해 전력 생산·저장·소비를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이다.

우선 전남을 선도기지로 구축해 전국으로 확산하기로 하고, 캠퍼스·군부대·공항 등에서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을 추진한다.

원전 분야에서는 i-SMR(경수형)과 차세대 SMR(비경수형)을 병행 개발해 국산 SMR을 다변화하고, 2030년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경수형의 경우 내년 i-SMR 표준설계 인가를 신청해 2028년까지 획득하고 2029년 SMR 제작 지원 센터를 구축한다. 비경수형은 2027년 개발 신규 프로젝트에 착수할 계획이다.

밸류체인을 구성하는 기업과 주관부처, 관련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추진단은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법·제도를 정비한다. 창원·부산·경주에 SMR 기자재 제작장비 공용활용센터를 구축하고, 원전산업성장펀드를 조성해 SMR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을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