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자율차 핵심 ‘HD맵’ 구축범위 일반국도로 확대
2022년까지 전국 일반국도 1만4000km 구간 구축 완료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국토교통부가 자율주행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HD맵) 구축범위를 확대하고 약 1만4000km 구간의 정밀도로지도를 2022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수도권을 시작으로 일반국도 확대 구축을 착수한 상태로 내년도 정부 예산안(160억원) 반영으로 내년까지 수도권, 강원권, 전라권, 경상권 등 4개 권역의 일반국도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제작이 완료된 전국 고속국도 및 주요도심 등 약 6000km와 함께 2022년 말 기준으로 전국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약 2만km의 정밀도로지도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차량-도로 간 협력주행체계(C-ITS)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된다.
기상 악천후, GPS수신 불량 등의 상황에서 자율주행차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레이더, 라이더 등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센서 탐색거리 보다 먼 거리의 도로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세부적으로 노면선표시, 안전표지판, 신호등, 노면표시 등 14종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정밀도로지도의 기본형태인 벡터데이터와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해 취득하는 점군데이터, 사진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부분자율주행차(레벨3)의 안전도 향상과 자율주행차의 판단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완전자율주행차(레벨4/레벨5) 상용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는 올해 7월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4차로 이상 지방도 및 군도까지 추가로 구축하면서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밀도로지도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올해 말까지 작업규정 및 표준을 정비해 고시·공고할 예정이다.
국토부 윤진환 자동차관리관은 “정밀도로지도는 앞으로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있어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며, “구축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한편 구축된 지도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