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IDC 시대 연 KT,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로 DX 실현 지원할 것”
10만대 서버 수용, IT 부하 기준 서울권역 최대 규모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KT가 서울 용산구에 ‘KT DX IDC 용산’(용산IDC)’을 완공하고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
KT의 13번째 IDC로 문을 여는 용산IDC는 연면적 4만8000㎡에 지상 7층, 지하 6층 규모를 갖췄다. 8개 서버실에서 10만대 이상 대규모 서버 운영이 가능한 서울권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급 데이터센터다.
4일 오후 열린 용산 IDX 개관식에는 KT 구현모 대표이사를 비롯한 주요 임원들과 국회 과방위원장인 이원욱 의원, 용산구 권영세 의원, 과기부 장석영 제2차관, 한국정보화진흥원 문용식 원장,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강중협 회장,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 이원목 국장과 주요 고객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IDC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단일회선으로 100Gbps 속도를 제공하는 것은 용산IDC가 국내에서 처음이다. 원 IDC(One-IDC) 구조로 테라급(Tbps) 데이터처리가 가능해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KT의 IDC(용산, 목동, 강남, 분당)를 연결해 하나의 거대한 IDC 형태로 구성하고, 최대 네트워크 경로를 8개로 다원화했다.
이를 통해 1개의 IDC에서 갑작스럽게 대용량 트래픽이 발생해도 인접 IDC를 경유해 백본망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차질 없이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용산에 위치한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용산IDC는 구로, 혜화 등지의 주요 통신시설과 인접해 인터넷 속도, 대역폭 지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KT는 원스톱 서비스로 IDC 기반의 DX 추진을 돕는다. 용산IDC는 초연결 교환(HCX) 서비스를 통해 아마존, 구글을 비롯한 국내외 모든 클라우드 시스템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
또 로컬 기기와 클라우드가 혼합된 IT환경에서 KT 전문인력이 운영 및 관리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매니지드서비스프로바이더(MSP)’도 제공한다.
용산IDC는 데이터센터 전력 소모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냉방비를 대폭 개선했다고 KT는 설명했다.
냉수식 항온기, 냉수식 프리쿨링과 냉각팬, 인버터 방식의 고효율 설비를 갖춰 냉방용 전력비를 기존 대비 2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이는 연간 2만6000톤의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어 연간 385만 그루의 나무를 아낄 수 있다.
KT Cloud/DX사업단장 윤동식 전무는 “KT는 용산IDC와 같이 차별화된 인프라와 솔루션을 통해 언택트, 디지털 뉴딜 등 기업들이 이제껏 경험하지 못했던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힘을 주는 최고의 디지털혁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