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분야 관계자 대상 연이은 해킹 시도 발견…‘주의보’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최근 외교·안보·국방분야 관계자와 종사자를 겨냥한 이메일 해킹시도가 다수 발견돼 주의가 요구된다.
20일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는 최근 외교·안보·국방·통일분야 관계자를 대상으로 이어진 해킹공격의 배후로 북한정부와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조직 탈륨(Thallium)과 라자루스(Lazarus)를 각각 지목했다.
이들의 공격 방식은 주로 이메일에 악성 DOC 문서를 첨부하는 전통적 방식이 성행하고 있지만 수신자를 현혹시키기 위한 위협 시나리오는 정교해지고 있는 추세다.
이번에 발견된 공격에는 ‘안보 연구 평가 설문’을 사칭한 이메일 공격 수법이 활용됐다. 공격자가 수신자에게 최초로 발송한 설문지 안내 파일에는 위협 요소가 전혀 없는 정상 문서가 첨부돼 의심을 낮추고 신뢰도를 높였다.
이후 이메일에서는 사례금 지급을 미끼로 수신자의 심리를 자극하여 악성 문서를 열람하도록 유도하는 지능적인 투-트랙 스피어 피싱 전략을 구사했다.
ESRC는 최근 포착된 여러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 탈륨 조직이 프로톤메일(ProtonMail) 서비스를 공격에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프로톤메일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2013년 설립된 종단간 암호화 이메일 서비스다.
보안 기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랜섬웨어 제작자들이 비트코인을 요구하거나 협상 시 활용하는 대표 이메일 서비스다.
라자루스 조직은 DOC 문서파일 내부에 조작된 PNG 포맷의 데이터를 삽입하, 이 데이터를 WIA_ConvertImage 매크로 함수를 통해 BMP 포맷으로 변환하는 공격 방식을 취했다.
몰래 악성코드를 은닉하는 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 기법으로 문서를 실행하면 내부에 숨겨둔 악성 스크립트가 호출되는 전략을 구사했다.
현재 유사하게 ‘참가신청서양식.doc’, ‘생활비지급.doc’ 등의 파일을 활용한 공격사례가 포착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사용자가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누르도록 가짜 화면을 노출하고 있는데, 초기 이 화면에서는 ‘프로그람’이라는 단어가 발견됐다. ‘프로그람’은 프로그램(Program)을 의미하는 북한식 영어 표기다.
이후 보고된 변종에서는 해당 문구 자체가 변경됐고 악성문서 작성자 이름에 ‘William’ 이름이 동일하게 사용됐다는 특징이 있다.
이스트시큐리티 ESRC센터장 문종현 이사는 “북한 당국과 연계된 것으로 널리 알려진 탈륨, 라자루스의 사이버 공격 수위가 함께 증대되고 있어 유사 위협에 노출되지 않도록 민관의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에 널리 쓰이던 HWP 문서의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취약점 대신 최근에는 DOC 매크로 공격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종종 HWP 문서 내부에 악성 OLE 개체를 삽입하는 방식도 관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