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융합지원단 운용 1년, 2만3000여건 기술지원 성과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자립화를 위해 지난해 출범한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이 2만3000여건의 기술지원에 나서 총 8,000억원의 매출성과를 달성했다.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은 지난 6일 경기도 성남시 한국전자기술연구원에서 출범 1주년을 기념하는 기업지원 성과 발표회를 가졌다.
융합혁신지원단은 소부장 산업의 자립화를 이끌 목적으로 지난해 4월 출범한 32개 공공연구기관의 협의체다.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과 기술, 장비 인프라를 활용해 소부장 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아왔다.
융합혁신지원단은 이날 발표를 통해 지난 1년간 5,634개 기업에 장비활용, 기술자문, 인력파견 등 2만3359건을 밀착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직간접 매출 8,181억원과 비용절감 277억원을 달성했고 기술애로 해소 3,100건, 기술이전 468건(기술료 208억원) 등의 성과를 냈다.
지난해 5월부터 기업지원데스크를 운영하면서 소부장 기업의 기술적인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기간은 기존 평균 6개월에서 평균 2.4개월로 단축됐다.
테스트베드 확충과 신뢰성·양산평가 지원 강화로 R&D 이후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소부장 기업의 기술 상용화를 적시에 지원한 것이 매출과 비용절감 등으로 연결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성과가 우수한 기업사례도 공유됐다. 일례로 전원 집적회로 생산기업인 에이피반도체는 전자기술연구원에서 신뢰성 향상 컨설팅과 시험성적서를 받아 현대자동차, 유니크전자 등에 60억원 규모의 납품을 성사시켰다.
전장품 생산기업인 우리산업은 한국자동차연구원에서 PTC 히터 클레임 원인 분석을 통해 고장률을 해소하면서 시스템 원가를 32%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융합혁신지원단은 올해 탄소산업진흥원, 차세대융합기술원 등 5개 기관이 새로 참여해 총 37개 기관으로 확대 개편될 예정이다. 전용 예산사업도 신설해 5년간 500억원을 투입하는 등 한층 구체적으로 기업지원을 추진하고 성과를 가시화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소부장 특화단지 기업지원을 위한 융합혁신지원단과 5개 특화단지 추진단 간 연대와 협력 공동 선언식도 열렸다.
이번 협력으로 특화단지 내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은 기술애로 해소 지원을 우선으로 받을 수 있고 장비 사용료 50% 감면 등 연구기관의 장비 활용에서도 우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