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DNA+드론’ 기술 챌린지용으로 공개

드론에 DNA(Data/5G/AI) 접목, 융합 서비스 개발 지원

2021-10-13     김소현 기자
DNA+드론 표준 데이터셋 공개 서비스 [사진=ETRI]

국내 연구진이 드론에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을 접목한 기술을 공개했다. 이를 활용한 드론 서비스 개발 활성화를 목표로 대국민 경진대회도 개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DNA+드론 기술 개발사업’의 중간 결과물을 공개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과 함께 ‘DNA+드론 챌린지 2021’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DNA+드론 기술 개발사업은 5G를 기반으로 드론이 사람의 시야에서 벗어나도 원활히 자율·군집비행을 하며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ETRI는 지난해부터 사업을 주관하며 드론에 빅데이터(D), 5G(N), 인공지능(AI)을 접목해 다양한 드론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을 추진해왔다. 

ETRI는 이 플랫폼을 활용해 드론 기술 고도화, 신개념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목표로 대국민 참여형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는 지난달 24일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됐고 총 90개팀이 참가했다.

연구진은 미션 수행을 위해 참가자들에게 ETRI가 총괄해 개발한 DNA+드론 플랫폼과 워크스페이스, 아크릴이 개발한 DNA+드론 AI 플랫폼, 아이온이 촬영한 실종자 드론 4K 영상 데이터, 지와이네트웍스가 챌린지용으로 제작한 실종자 학습 데이터와 AI모델을 공개하고 KISTI의 온라인 학습용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했다.

연구진은 이 플랫폼에 필요한 기술을 고도화, 안정화 작업을 거쳐 내년께 대국민 서비스로 공개할 예정이다.

ETRI 임채덕 DNA+드론기술개발사업단장은 “행사를 통해 우수한 연구 능력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대학·기업과 함께 사업 중간결과물을 검증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살아 움직이는 R&D를 추진하며 드론 신서비스를 빠르게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사업을 통해 국내 특허 12건 출원, 국제 특허 7건 출원, SCI 논문 4건을 발표했다. 드론 표준 데이터를 위해 국내 표준화 및 ITU-T 국제 표준화 작업도 함께 수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