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 커졌다…“원유 가격 오르고, 반도체 가격 내리고”
한경연, 1월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 7.2p…채산성 악화 우려
무역수지 적자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출물가가 무역수지 적자폭을 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전년 동월비 올해 1월 수입물가 상승률은 19.6%, 수출물가 상승률은 12.4%를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1월 수입물가 상승률은 작년 연간 상승률인 21.1%보다 낮았다”며 “수입물가 상승 자체보다는 수입물가 상승률과 수출물가 상승률 간의 격차 확대를 최근 무역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수입물가지수 상승률-수출물가지수 상승률)는 7.2%p로 2021년(3.4%p)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
한경연은 지난해에는 수입물가가 오른 만큼 수출물가도 오르면서 무역수지가 흑자로 유지됐으나 올해는 수출물가 대비 수입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수입 물량은 전년동기비 15.5% 늘었지만 수출물량은 8.6% 느는 데 그쳐 무역수지 적자 폭이 더 커졌다.
한경연은 일반적으로 수입물가와 수출물가는 유사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특히 원자재를 주로 수입하는 경우, 수입물가 상승이 수출물가로 전가되는 성격이 있다고 설명했다.
때때로 수입물가와 수출물가의 상승폭이 차이를 보이는 경우,수입물가와 수출물가의 상승률 격차가 커질수록 무역수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2008년에 발생한 무역적자 사례를 들었다.
2000년대 중 유일하게 무역적자를 기록한 2008년은 수입물가-수출물가 상승률 격차가 동기간 가장 컸던 해다.
한경연은 올해 무역적자 여부와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최대 수입품목인 원유,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가격을 지목했다.
원유 가격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커졌지만 반도체 가격은 지난해 10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의 경우 지난달에는 전월비 6.7% 하락했다.
한경연은 “트렌드포스 등 여러 기관에서 올해 메모리반도체 가격하락을 전망하고 있어 반도체 수출 가격의 빠른 반등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우리나라가 독점적 공급구조를 가진 원자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주력 수출품목이 경쟁이 치열한 공산품에 집중돼 있어 원자재 가격 상승을 수출품 가격에 전가시키기 어려운 구조”라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올해 수출입물가 상승률 격차가 지난해 대비 더 커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무역수지 적자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국가부채 증가, 외환보유고 감소가 이러지는 상황에서 무역수지 적자가 가시화되면 한국경제의 대외신인도 하락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태규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미국 금리 인상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이어져 자본시장이 흔들릴 수도 있다”고 경고하며 “대외신인도 하락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재정건전성 확보, 투자여건 개선,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등 경제 펀더멘털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