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국내 의료기기 디지털화·수출활성화 촉진에 1,623억 지원
정부가 올해 1,623억원의 예산을 들여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디지털화 및 수출활성화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병원과 의료기기 기업, 관련 기관 등과 의료기기 정책 현황 및 지원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를 갖고 이와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이 주재로 ‘제37회 국제 의료기기·병원 설비 전시회(KIMES 2022)’ 개막과 함께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봇 등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통적인 하드웨어(H/W) 중심 의료기기에서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의 디지털화 촉진과 수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분당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상급 종합병원 5곳과 루트로닉, 휴이노 등 디지털 의료기기 기업 4곳, 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을 포함한 관련 기관 5곳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최근 체외진단기기 수출 증가 등으로 해외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위상이 높아졌으나 주력 제품군 다변화를 위한 디지털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올해 1,623억원의 에산을 투입해 ▲의료기기 디지털화·융복합 기기 개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육성 ▲의료기기 수출지원 강화 ▲병원-기업 간 협력모델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특히 의료기기의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임상 등을 위한 병원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병원, 의료기기, 기업, 정부, 유관기관 간 협력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병원과 기업들은 산업부에 기술 개발 후 국내외 시장 진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사업과 융복합 의료기기에 대한 적절한 건강보험 수가 반영 등을 건의했다.
유럽의 인증제도 강화(MDR) 등 국내 기업이 해외 인허가에 어려움이 많아 해외 인허가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규제조화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도 요구했다.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 글로벌 의료기기와 성능비교 등 의료진들이 기여할 수 있는 만큼 병원 전문의료진이 참여할 수 있는 병원-기업 간 연계 지원 확대도 건의했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10대 수출 품목인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 실적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시현하고 있는 것은 의료기기 수출 확대에 힘입은 바가 크다”며 “연구개발(R&D) 지원 뿐 아니라 시장진출을 위한 전주기적 지원이 필요함에 공감하며 디지털화 지원, 국외 인증제도 대응, 인증·표준 전문인력 양성 등 업계 및 병원 건의사항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