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 상용화

서초구에 도입, 고속터미널 일대 교통영향평가에 활용

2023-02-15     김소현 기자
SK텔레콤 관계자가 통신 데이터 기반 교통 흐름 분석자료를 보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서초구청이 발주한 ‘디지털트윈국토 기반 교통영향평가 지원모델 사업’에 자사의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를 적용·상용화한다고 15일 밝혔다.

리트머스는 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동 상태 및 수단 등 위치 지능형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은 “리트머스의 위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고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서 훨씬 효율적”이라며 위치정보사업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다.

기존 교통영향평가 방식은 특정기간에 조사원이 교통량과 차량속도를 조사해 데이터 수집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으나 리트머스는 별도의 교통정보 수집장치와 조사인력이 필요 없고 어디서나 측정이 가능해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리트머스는 당초 SK텔레콤에서 기지국 품질 개선을 위해 개발한 네트워크(N/W) 기술에서 출발, 이후 여기에 AI기술이 더해지고 데이터 가공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교통영향평가 지원 모델로 발전했다.

서초구는 향후 통신데이터 등에 기반한 교통영향평가 모델을 개발해 반포동 고속터미널 일대 재건축 사업 예정지 등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재건축 완료 전후의 교통량 및 흐름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이에 기반한 교통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서초구는 도로 혼잡시간대 및 혼잡구간 예측정보를 경찰과 서울시 등 유관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도심 교통혼잡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SK텔레콤은 향후 통신 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해 기존 차량 중심 서비스에서 전동 스쿠터 등 퍼스널 모빌리티와 보행자 등 다양한 이동 주체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교통 및 유동인구 정보 등을 활용해 ▲도로 및 교통정보 생성·검증 ▲지능형교통시스템(ITS) ▲스마트 모빌리티(공유차/공유자전거)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신 데이터 기반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장홍성 SK텔레콤 AdTech CO담당은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생성·검증 기술을 기반으로 수요자 중심의 모빌리티 서비스로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