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지주·은행·계열사 대대적 조직 개편…이원덕 은행장은 사의

2023-03-08     박인환 기자
[사진=우리금융그룹]

임종룡 신임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의 취임에 앞서 이원덕 우리은행장이 취임 1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난다. 우리카드, 우리금융캐피탈 등 나머지 8개 자회사 대표도 새 인물로 교체된다.

8일 우리금융그룹에 따르면, 임종룡 회장 내정자의 경영 전략 방향을 반영해 지주와 은행, 계열사의 대대적인 조직·인사 혁신을 단행하기로 했다.

우리금융은 임 회장이 24일 정기 주주총회를 거쳐 정식 취임하지만, 지난해 말 이후 인사 및 조직개편을 미뤄온 만큼 취임 전 회장 의지를 담아 일괄 단행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후임 은행장은 임 내정자의 공식 취임 직후 경영승계 프로그램을 통해 선임될 예정이다. 경영승계 프로그램은 주요 보직자 3∼4명을 후보군으로 정한 뒤 최적의 후임자를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에서 결정하는 방식이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전날(7일)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카드, 캐피탈, 종금 등 재임기간이 2년이 넘은 임기만료 자회사 대표를 전원 교체하기로 했다.

우리카드 대표에는 박완식 우리은행 개인·기관그룹장이, 우리금융캐피탈 대표에는 조병규 우리은행 기업그룹장이 각각 선임됐다.

우리종금 대표에는 김응철 우리은행 외환그룹장, 우리자산신탁 대표에는 이종근 우리금융지주 경영지원부문 전무, 우리금융저축은행 대표에는 전상욱 우리금융 미래성장총괄 사장, 우리펀드서비스 대표에는 김정록 우리은행 준법감시인이 각각 내정됐다. 우리자산운용 대표에는 외부 전문가인 남기천 멀티에셋자산운용 대표를 영입했다.

우리금융은 “이번 조직 개편으로 지주사는 전략수립과 시너지 창출, 조직문화 혁신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정예화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지주 내 총괄사장제(2인), 수석부사장제를 폐지하고 11개 부문을 9개로 축소했다. 지주 임원은 11명에서 7명으로 줄였다. 지주 전체 인력도 20% 감축하고 회장 비서실(본부장급)도 폐지했다.

대대적 조직문화혁신을 추진한다는 임 내정자의 의지에 따라 회장 및 자회사 최고경영자(CEO)협의체인 기업문화혁신 태스크포스(TF)가 회장 직속으로 신설됐다. 이 TF는 인사 및 평가제도 개편, 내부통제 강화, 경영 승계프로그램 등 그룹 차원의 기업인사문화혁신 전략을 수립·실행하게 된다.

증권사 인수 등 비은행 부문을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지주 내 미래사업추진부문도 신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