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차 인프라 구현”…LGU+, 4개 부처 주관 실증사업 과제 수주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 수주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의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협약을 완료했다고 전했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2027년 융합형 기술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완성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주관한다.
LG유플러스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실시간 수요대응 대중교통 모빌리티 서비스 등 5개 과제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에는 24시간 주행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을 통해 도로 노면청소, 미세먼지·공기 정화, 전염병 방역·소독 등을 수행하는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를 추가 수주하고 2027년까지 약 5년간 주관연구기관으로서 관련 기술 연구와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LG유플러스는 주관연구기관으로서 해당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된 자율주행 서비스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사업 기반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이번 실증을 위해 GS건설(노면상태 평가 기술 및 테스트베드 제공), 리텍(도시환경관리 특장차 개발), 라이드플럭스(도로노면청소 차량 플랫폼 기술), 에이스랩(미세먼지·방역 서비스 차량 플랫폼 기술), 스페이스인사이트(돌발상황 검지 기술), 쿠오핀(차량 원격제어 기술), 아주대학교(서비스 평가 기술), 카이스트(배차·경로 최적화 기술) 등 8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LG유플러스는 실증사업 과제 수행을 위해 ▲5G, V2x 기반의 차량 데이터·수집·처리·전송 기술 ▲도시환경관리 서비스에 최적화된 정밀지도 기반 3D 관제시스템 ▲사용자 모바일 앱을 연구개발해 리빙랩 기반으로 4만km이상의 서비스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기본적으로 자율주행 차량 관제 시스템은 WAVE, C-V2x를 지원하는 노변 기지국(RSU)과 V2n 통신을 지원하는 5G 기지국과의 연동을 통해 운영된다. 자율주행 차량에 부착된 5G, WAVE와 C-V2x를 통합한 차량용 단말기(OBU)와 연동돼 관제 시스템과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다.
관제 시스템은 5G 통신과 노변 기지국을 통해 도로상황과 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등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차량의 이상상태와 돌발상황을 감지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LG유플러스는 양자내성암호(PQC) 알고리즘을 적용해 차량 보안도 강화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0월 차량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 환경에서 차세대 암호체계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LG전자, ICTK과 협업 중이다.
이상엽 LG유플러스 CTO(전무)는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돼 의미가 크다”며 “도시환경관리는 주로 심야시간에 시행되어 많은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으로, 본 연구개발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