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레벨4 자율주행기술 상용화에 1조7000억원 투입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 정부합동 브리핑룸에서 김경욱 국토부 2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정부가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공개했다. 친환경차 기술력 확보를 통한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민간투자를 통한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 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27년을 기준으로 전국 주요도로에 기술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통신/정밀지도/교통관제/도로 등 핵심 인프라 구축계획도 담겼다.


정부는 15일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미래차 국가비전 선포식을 갖고 향후 관련 산업 전략을 공식 발표했다. 3대 핵심 추진전략으로 친환경차 기술력 확보, 완전자율주행 인프라 구축과 개방형 생태계 확장을 담았다.

글로벌시장에서 경쟁구도가 빠르게 변하고 있는 만큼, 보유한 강점을 최대한 살려 시장 경쟁력 확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미래자동차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전기차 경쟁력 확보를 목적으로 제조역량·성능 개선을 추진하고 충전인프라 확충에 나선다. 차량플랫폼과 배터리기술, 수소연료전지 등 핵심영역 모두 국산기술력을 확보한 만큼,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충전소 구축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겠다는 설명이다.

◆레벨4 자율주행기술 상용화 위해 1조7000억원 투입
자율차 상용화를 위한 기술·제도정비 및 인프라 확충도 추진한다. 강점인 반도체기술을 활용한 센서·카메라 등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빠른 기술력 제고가 필요한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는 국제협력으로 기술력 확보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통신인프라 강점을 활용해 센서 중심의 독립형 플랫폼은 물론 통신 기반의 커넥티드 플랫폼 개발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설명이다. 또 자율주행을 위한 인프라와 제도개선에 나서 자율주행기술 레벨3 수준의 기술력·인프라 구축을 빠르게 마무리짓는다는 게 핵심이다.

정부는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 시스템·부품·통신 부문에 1조7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2021년부터 2027년가지 핵심부품, 차량시스템·인프라 개발에 매진하고 자율차 기술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다.

2023년까지 자율주행 환경인지 센서와 정밀지도, 차량안전기준 등 약 25종의 국제표준도 제안한다는 목표도 내세웠다.

▲ 공공부문 9대 서비스 내용


정보·이동성을 핵심으로 담고 있는 미래 모빌리티서비스 경쟁력 확보에도 나선다. 자율셔틀/자율택시/화물차 군집주행 상용화 등 민간 주도의 3대 서비스, 공유차/자율주행순찰/대중교통 최적화 등 공공수요 기반의 9대 서비스 확산을 통해 자동차-서비스가 융합된 미래차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는 게 핵심이다.

아울러 2개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세종·부산)에 미래 교통체계와 자율차 연계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대형 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개방형 협력 생태계 구축, 신사업 발굴도
정부와 대기업이 협력해 미래차 관련 스타트업의 발굴 및 지원에도 나선다. 대기업은 스타트업에 개발·시험장비와 입주공간을 지원하고 정부는 기술창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기술 고도화, 투자·융자 지원 부문에서 협력한다는 내용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인용]

강소기업의 사업기회 확보를 위한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간 협력모델도 마련된다. 전장반도체 부문에서는 중소팹리스기업의 선개발-투자를 지원하면서 시장진입을 돕는 내용이, 수소버스 부문에서는 대기업에서 생산 중인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중소·중견전기버스 제작사에 공급해 생산 확대를 촉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핵심소재·부품의 자립도 제고에도 나선다. 미래차 분야 핵심소재와 부품의 자립도를 현재의 50% 수준에서 80% 수준까지 높인다는 계획으로 단기 국산화 품목은 수요연계형 기술 개발 및 신뢰성시험을 지원하고 중장기 개발 품목은 소재·부품 전용펀드를 통해 투자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