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익이 3,727억원으로 전년동기비 10.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공시자료에 따르면, 매출은 2조479억원으로 전년동기비 17.7% 늘었다. 순익은 2,867억원으로 80.9% 증가했다.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검색 플랫폼 9,104억원, 전자상거래(e커머스) 6,329억원, 콘텐츠 4,204억원, 금융기술(핀테크) 3,397억원, 클라우드 1,045억원으로 집계됐다.
검색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비 0.5% 증가했다. 검색 광고 매출은 상품 고도화로 광고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어려운 거시적 환경 속에서도 전년동기비 4.3% 늘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비 44.0% 증가했다. 2분기 네이버 전체 커머스 거래액은 전년동기비 14.8% 늘어난 11조9000억원에 달했다.
콘텐츠 부문 매출도 전년동기비 40.1% 늘었다.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동기간 8.6% 증가한 4,448억원으로 집계됐다. 일본과 미국에서 유료 이용자가 20% 넘게 늘어난 점이 성장을 견인했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핀테크 분야의 매출은 전년동기비 14.9% 증가했다.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동기간 21.2% 늘어난 14조6000억원에 달했다. 제휴 등을 통한 외부 결제액은 6조3000억원, 오프라인 결제액은 삼성페이 연동에 따라 전년동기 2배 수준인 1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클라우드와 차세대 연구개발(R&D)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비 0.4% 감소했다.
네이버는 이달 24일 차세대 초거대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고 대화형AI 서비스 ‘클로바X’와 클라우드 기반의 B2B 상품도 강화할 계획이다.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2분기 주요 사업부문이 모두 고르게 성장했다. 앞으로 장기간 축적해 온 AI기술력과 플랫폼 경쟁력을 바탕으로 네이버만의 생성AI 경험을 제공하며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몇년간 조 단위가 넘는 투자를 통해 축적해 온 AI기술을 네이버만의 방식으로 활용해 각 사업부문들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궁극적으로 네이버의 사업 동반자들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카오 2분기 실적발표, 매출 2조425억원…분기 첫 2조원 돌파
- 카운터포인트, “테크 분야 성장 회복세 뚜렷”
- 카카오뱅크, 올해 상반기 순익 1,838억원…전년동기비 48.5% 증가
- 유럽연합(EU) 사이버보안 지침 ‘NIS2’ 개정…“거버넌스 책임 확대로 대응해야”
- 저커버그 ‘효율성’ 개선 주효했나…메타,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
- 삼성SDS 2분기 실적발표, 매출 3조2908억…전년동기비 28% 감소
- LG엔솔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전년비 136% 증가…분기 매출 최대
- 삼성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전년동기비 95% 급감
- 솔루스첨단소재 2분기 실적발표, 영업손실 238억…하반기 전지박 캐파 확대
- SK케미칼 2분기 실적발표, 매출 3,090억원…전년동기비 5.1%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