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국영버스그룹 ‘수소연료전지버스 구매 프로젝트’ 입찰서 1위 낙찰
현대자동차그룹이 중국 카이워그룹과 손잡고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 수소연료전지버스를 공급하며 현지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중국 수소연료전지시스템법인 ‘HTWO광저우’가 중국 상용차업체 카이워그룹과 공동 개발한 8.5m 수소연료전지버스가 지난 11일 현지 버스사업 국유기업인 광저우국영버스그룹이 발표한 ‘수소연료전지 도시버스 구매 프로젝트’ 입찰 결과 종합평가 1위로 최종 낙찰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광저우국영버스그룹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수소버스 총 50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중 절반에 해당되는 25대를 1위 선정 업체인 HTWO광저우와 카이워그룹이 연내 공급하고 실제 운행에 투입할 계획이다.
HTWO광저우는 현대차그룹이 해외에 건설한 첫 번째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공장이자 현대차그룹의 중국 내 수소사업 핵심 거점이다. 2023년 준공 이래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수소기술의 중국 내 안착과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8.5m 수소버스는 저상 구조와 맞춤형 루프 설계를 통해 넓고 편리한 승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뒤쪽 오버행(차량 끝에서 바퀴 중심까지의 거리)이 업계 최초로 1.1m 미만으로 설계돼 차량의 주행성이 개선됐고 내부에는 6.1m의 대형 평면 공간이 확보됐다.
차량에 탑재된 90kW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은 기존 내연기관보다 발전 효율이 높고 5분간의 충전으로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다. 복합 주행거리는 현지 기준 최대 576㎞다.
HTWO광저우는 이번 수소버스 도입이 광저우시의 교통 부문 탄소 저감과 에너지 효율 향상에 주요 역할을 하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이동 환경을 제공하고 중국 현지 수소 생태계 구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HTWO광저우 관계자는 “광저우 수소버스 프로젝트 1위 낙찰은 HTWO 광저우가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중국 시장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중국 내 수소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 투자를 지속 확대하고 더 많은 현지 파트너와 손잡아 수소산업 생태계를 공동 구축하며 중국의 녹색 발전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기아, PBV 전용공장 ‘화성 이보 플랜트’ 개소…연 25만대 생산 허브
- 코아시아세미, 차량용 BMS 솔루션 시장 진출
- 올라 칼레니우스 벤츠 회장, 삼성·LG 경영진과 모빌리티 협력안 논의
- 솔루스첨단소재, ESS용 전지박 공급 확대…“전략 다변화로 시장 대응”
- 中자동차산업 실질 가동률 50%…EV 흑자기업은 BYD 등 4개사
- 지능형·친환경 미래차 정책 논의…산업부, APEC 자동차대화 개최
- 현대차그룹, 올해 24조3000억원 국내 투자…역대 최대 규모
- “수소경제 가속화, 밸류체인 내 이슈 주목하고 신시장 창출해야”
- 산업부, 국가핵심기술 고시 개정·공포…수소분야 신설
- 국토부, 15일 ‘수소도시 조성사업’ 설명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