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증가했으나 성장세는 둔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게티이미지]
올해 상반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증가했으나 성장세는 둔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게티이미지]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계속 증가하지만 성장세는 둔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규모 소비 확산세로 모바일 쇼핑 거래액이 PC 쇼핑 거래액을 크게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간한 보고서(2023 유통물류 통계집)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09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비 7.2% 증가했다.

하지만 성장률은 2021년 상반기 23.7%, 2022년 상반기 12.2%에서 하향세를 보였다. 상품 거래액은 78조1000억원으로 전년동기비 2.8% 증가에 그쳤다.

반면 여행·교통·레저를 포함한 서비스 거래액은 31조1000억원으로 20.0%나 늘었다.

판매처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을 보면, 모바일쇼핑 80조7000억원, 인터넷(PC)쇼핑 28조4000억원으로 모바일이 PC의 약 3배를 차지했다.

대한상의는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규모 소비 확산, 간편결제 시스템 정착 등으로 모바일이 주요 구매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5년간(2018~2022년) 국내 소매시장 전체 매출액은 363조5000억원에서 494조원으로 35.9% 증가했다.

업태별로는 온라인쇼핑, 홈쇼핑 등으로 대표되는 무점포 소매 매출액이 70조3000억원에서 124조2000억원으로 76.6% 크게 늘었다.

동기간 코로나19 사태에도 오프라인 유통 중 슈퍼마켓·잡화점(39.4%), 전문소매점(31.2%), 편의점(27.8%), 백화점(26.0%)의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반면 대형마트 매출은 3.9% 늘어나는 데 그쳤고 팬데믹의 타격이 컸던 면세점은 6.0% 역성장했다.

대한상의는 “엔데믹을 맞아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경제 및 야외활동에 따른 외출 관련 소비가 증가하고 해외여행 수요가 늘면서 백화점,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 오프라인 유통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