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pixabay]
[source=pixabay]

지난달 말 기준 올해 휴대전화 요금 연체·미납자 10명 중 4명이 20·30대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이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누적 휴대전화 요금 연체·미납 건수는 20만3032건, 연체·미납액은 248억9300만원이다.

국내 이동통신사 가운데 가장 가입자가 많은 SK텔레콤의 연체·미납 건수(8만5711건)와 금액(116억3100만원)도 1위였다.

KT와 LG유플러스의 연체·미납 건수는 각각 7만4657건, 4만2천664건이다. 연체·미납액은 KT와 LG유플러스 각각 69억90600만원, 62억6600만원에 달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요금 연체·미납액이 59억96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30대가 55억66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40대(49억2400만원), 50대(39억4600만원), 60대 이상(35억4200만원) 순이었다.

20·30대 휴대전화 요금 연체·미납 건수는 8만5790건으로 전체 연체·미납 건수의 42.2%에 달했다. 연체·미납액(115억6200만원)도 전체의 46.4%를 차지했다.

이정문 의원은 통신3사가 가계통신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출시한 5G 청년·시니어 요금제를 두고 “특정 연령대에 속하지 않는 국민의 통신요금 부담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또 “20·30세대의 취업난, 실업률이 심각한 상황에서 경기침체와 물가 상승까지 더해져 통신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모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가계 통신비 절감 방안 마련에 통신사가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