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24일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고위험·고성과 연구개발(R&D) 프로젝트’에 최종 채택된 3개 과제를 공고했다. 중소벤처기업이 고위험 R&D에 도전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연구 자율성을 보장하며 민·관 합동으로 100억원 규모의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화재·폭발위험 원천 차단 이차전지용 3중 열관리 소재 기술개발(이차전지)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고굴절 유연 로봇 플랫폼 개발(로봇·바이오융합) ▲300mm 웨이퍼 복합 다층박막 초정밀 두께 측정 기술개발(반도체) 등이다.
화재·폭발위험 원천차단 이차전지용 3중 열관리 소재 기술개발 과제는 이차전지 수요 증가와 함께 화재·폭발사고가 늘어나는 추세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발화 예방, 연쇄 폭발 예방, 냉각기능 향상의 3중 안전체계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고굴절 유연 로봇 플랫폼 개발 과제는 입 등 자연개구부를 통해 체내로 로봇이 진입해 수술하는 기술로, 타 수술법 대비 흉터 및 출혈 최소화, 빠른 회복 및 짧은 입원 기간 등의 장점을 보유한 차세대 수술법이다.
그간 기술적인 제약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고 도전성·연구개발 필요성 등이 인정돼 이번에 선정됐다.
300mm 웨이퍼 복합 다층박막 초정밀 두께 측정 기술개발 과제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인 3차원 패키징 과정에서 필요한 측정 기술이다. 기술개발 시 경쟁국 주요사 대비 국내 반도체 경쟁력 확보와 수입 대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중기부는 이번 공고에 따라 프로젝트를 수행할 기업을 연말까지 선정할 예정이다.
중기부 이영 장관은 “엄선 과정을 통해 공고가 됐으며 내년부터는 전략기술 테마별 대규모 프로젝트로 역할을 확대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하버드, MIT 등 해외 선도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협력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현직 연구원 92%, “정부 R&D예산 삭감 매우 바람직하지 않아”
- 중기부, ‘중소기업 인재대학’에 경상국립대·공주대·전주대 선정
- 솔루스첨단소재, OLED 비발광 소재 생산기지 함열공장 가동 개시
- LG전자, “산·학·연 파트너와 통신기술 주도권 선점”
- SK스토아, 민간 기업 최초 중기부 유통망 생생결제 제도 도입
- ‘AI 아카데미’ 개설한 엔비디아…이달 31일까지 참가자 모집
- 벤처투자법 시행령 개정안 의결…민간 벤처모펀드 제도 19일 시행
- 외국인 국내 특허출원 증가…“기술거래 활성화로 자산 선점해야”
- 카카오브레인, 글로벌 얼굴인식 대회 PAD 부문 1위
- 중기부, 소속위 4개 폐지 일괄정비법률안 국무회의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