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카가 한국교통연구원, 라이드플럭스, 세스트, 엔제로, 한양대학교와 함께 국책과제로 추진 중인 ‘레벨4 이상 자율주행 카셰어링 서비스’ 1단계 기술 시연을 제주에서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달 3일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에서 진행된 이번 시연에는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최진우 단장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의 관계자와 자율주행 공유차 모빌리티 서비스 평가단 6인, 라이드플럭스, 쏘카 기술기획팀, 관련 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이날 열린 시연은 다양한 실제 유저의 유즈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해 ▲출퇴근 용도의 구독 예약 ▲업무 이동을 위한 수시 예약 ▲여가생활 이동 위한 예약 ▲등하교 용도의 예약 등 총 6개 시나리오로 진행됐다.
각 시나리오별 지정된 참석자들은 자율주행 카셰어링 차량을 호출하고 승하차·이동·주자·배회 등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을 경험했다. 자동 배회와 자동 픽업 서비스, 이용자용 앱 서비스 프리플로팅 자율주행 등의 핵심기술을 체험하며 타 대중교통과 연계성과 이동편의성, 안전성, 정확도 등을 평가했다.
쏘카와 한국교통연구원·라이드플럭스·세스트·엔제로·한양대학교는 향후 기술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2026년에는 자율주행 실증도시 후보지로 선정된 화성시 리빙랩에서 기술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기회를 제공해 2027년까지 상용화 기반 마련에 전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최진우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단장은 “이번 시연은 자동차 산업과 모빌리티 분야에서 자율주행과 카셰어링의 결합이 어떻게 미래 이동 패러다임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앞으로 기술 보완과 규제 개선 등 넘어야할 과제가 많지만 상용화까지 최선을 다해 지원해 혁신적인 이동경험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재욱 쏘카 대표는 “이번 시연은 쏘카를 비롯해 여러 관계 기관의 협력에 노력이 더해진 결과물”이라며 “자율주행 카셰어링 기술을 통해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미래 모빌리티 환경을 구축하고 일상에서 끊김없는 이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쏘카·한국교통연구원·라이드플럭스·세스트·엔제로·한양대학교는 현재 1조1000억원 규모 정부 중심의 R&D 사업인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KADIF)’ 추진 과제 중 ‘자율주행 Lv.4/4+ 공유차(카셰어링) 서비스 기술 개발’ R&D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자율주행(Lv.4/4+) 기반 공유차 서비스 모델 구현을 위해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 공유차 서비스 관리 및 기반 기술 개발 ▲자율주행 차량의 공유 서비스 기술 개발 ▲자율주행 공유차 및 원격제어 시스템 구축을 통한 리빙랩 실증 ▲자율주행 공유차 서비스 지원 및 플랫폼 평가 기술 개발 ▲운행 설계영역(ODD) 확장을 위한 자율주행 연계 ▲V2x 기술 개발 ▲자율주행 공유차 서비스 최적화 기술 및 교통분석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기술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 현대차그룹, 美 실리콘밸리서 ‘모빌리티 혁신 포럼’…인간 중심 혁신안 공유
- SKT·마스오토, 대형트럭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맞손’
- 엔비디아, 폭스콘과 전기차(EV) 혁신 파트너십 구축
- LG전자, “산·학·연 파트너와 통신기술 주도권 선점”
- 쏘카, 네이버와 모빌리티 혁신 맞손…“초대규모AI 기반 서비스 경쟁력 제고”
- 라이드플럭스, ‘CVPR 2023’서 비정형 객체탐지(OD) 성능 개선 연구논문 공유
- 대법, “타다, 불법콜택시 아니다” 무죄 확정
- 쏘카, “모빌리티 초거대AI 챌린지 연다”
- 쏘카·에스앤아이, 공유 모빌리티 활성화 ‘맞손’
- “자율차 인프라 구현”…LGU+, 4개 부처 주관 실증사업 과제 수주